[아이뉴스24 김다운 기자]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개시하면서 국민연금의 1조원 넘는 투자금이 손실을 볼 위험에 놓였다.
![5일 서울 관악구 홈플러스 남현점에서 소비자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사진=아이뉴스24]](https://image.inews24.com/v1/ca19440b9ca265.jpg)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현재 보유한 홈플러스 상환전환우선주(RCPS)는 1조원 이상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RCPS는 투자자가 특정 시기부터 투자금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상환권, 투자자가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권, 배당 시 보통주보다 우선권을 모두 가진 우선주를 의미한다.
사모펀드 운영사 MBK파트너스가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RCPS를 통해 7000억원 자금을 조달했는데, 이 중 국민연금이 6000억원을 투자한 것이다.
이자가 붙으면서 현재 국민연금이 보유한 홈플러스 RCPS 규모는 1조1000억원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홈플러스가 지난 4일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면서 후순위에 있는 RCPS 투자금 회수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홈플러스 기업 회생 변제권 순위는 메리츠금융 등 담보 채권자가 1순위, CP 등 무담보 채권자가 2순위, 국민연금 등 RCPS 투자자는 3순위다.
홈플러스가 현재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상황이기 때문에 향후 자산을 매각해 채권자에게 지급해도 변제권 1순위인 메리츠금융 외에는 상당수 부분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홈플러스 측은 4조7000억원 규모의 부동산을 처분할 경우 메리츠 3사 금융부채 상환에 1조4000여억원 정도 투입하고 남는 금액으로 나머지 채권자의 채무를 상환하고 기업 회생이 가능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김다운 기자(kdw@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