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한빈 기자] 서울시가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 체계 조성을 위해 전국 지방자치단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협력을 강화한다.
![18일 서울시청 서소문청사에서 열린 '제1회 개인정보정책 세미나'에서 김직동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정책과장이 '2025년 개인정보 주요 정책 방향'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54b6ae150df29f.jpg)
18일 서울시는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 주관으로 열린 '제1회 개인정보보호정책 세미나'에서 전국 지방자치단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가명 정보 처리 업무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는 인공지능(AI) 등 기술 발전으로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전국 지자체·공공기관의 안전한 정보보안·개인정보보호 체계 조성을 위해 서울시 주도로 지난해 10월 발족한 공공협의회다.
이날 세미나는 최근 챗 GPT·딥시크 등 생성형 AI의 활용 증가와 급속한 기술 발전에 대응하는 '신산업 혁신지원 체계' 구축, 지자체의 개인정보 보호 체계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개인정보보호 조례' 제정, 공공분야에서 강화되는 '개인정보 집중관리시스템'의 안전조치 의무화 등이 다뤄졌다.
또 지자체·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 수준을 평가하는 '개인정보 보호 수준 평가제'와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주요 처분 사례' 등 지자체·공공기관이 행정업무를 추진하면서 준수해야 하는 개인정보보호 업무 전반을 공유했다.
특히 이 자리에서 서울시와 개인정보위는 '가명 정보 처리 활성화'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개인정보위는 구체적으로 '서울 가명 정보 지원센터'를 시와 공유해 가명 처리 시스템과 분석 공간을 제공하고 가명 처리 적정성 심의 인력과 컨설팅도 지원해 가명 처리 업무 전반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전국 정보보호정책협의회 출범 후 처음으로 개최되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의 공식 세미나를 통해서 각급 기관이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서울시도 안전한 개인정보 환경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한빈 기자([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