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국배기자] 정부가 내년 국가 사이버보안 연구개발(R&D) 예산으로 1천억 원을 쏟는다.
선진국과 기술 격차를 좁히고 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는 사이버보안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7년 1천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국가 사이버보안 R&D 추진계획'을 확정했다고 27일 발표했다.
국가 사이버보안 R&D 규모는 2014년 638억 원, 2015년 716억 원, 2016년 914억 원, 2017년 1천3억 원으로 연평균 19%씩 증가했으나, 선진국 대비 약 2년의 기술격차는 여전했다.
특히 최근 융복합 등 ICT 기술 진화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보안 요구가 증가하면서 개별 부처 차원의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범부처 차원에서 이번 계획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미래부와 국방부, 국가정보원, 경찰 등이 참여하는 '국가 사이버보안 R&D 조정협의회'를 구성, 내년 정보보호 R&D 신규 사업 추진방향을 논의했다.
이에 따라 머신러닝 기반 공격자 정보와 공격 자원 수집, 연관관계 분석을 통한 위험 예측 기술을 개발하는 데 28억 원을 투자한다.
공격자가 목표물에 접근하기 어렵게 하는 시스템 은폐·난독화 기술, 자기학습형 면역 시스템 개발에도 38억 원을 쓴다. 인공지능 해킹 대회를 활용해 로봇 기반 사이버 공격·대응 플랫폼도 만든다.
65억5천만 원을 들여 정보 유출 가능성을 원천 봉쇄할 수 있도록 양자암호·차세대 암호기술과 암호 적용 시스템의 안전성 분석 기술도 개발하기로 했다.
랜섬웨어 대응 기술, 블록체인 활용 인증 기술, 사용자 친화형 무자각·무인지 보안기술 개발에도 80억5천만 원을 투입한다.
데이터 비식별화, 사물인터넷(IoT)·자율주행차 보안 기술, 차세대 인증기술,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영상보안(차세대 CCTV) 기술 개발에는 43억 원이 쓰이게 된다.
아울러 미국 등 보안 선진국과 국제 공동 연구개발을 확대해 선진 기술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정보보호 기반 강화를 통한 사이버공격 피해 감소, 산업계 글로벌기술 경쟁력 확보를 통한 해외진출 활성화, 신성장동력 창출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국배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