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다운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했다고 해서 한은이 따라서 금리를 인상하지는 않겠다는 뜻을 전했다.
15일 이 총재는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금리 동결은 금통위원 만장일치 결정이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에는 경기와 물가를 포함한 전반적인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 인상 하나만 갖고 예단을 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미 연준은 14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 총재는 미국과 한국의 내외 금리차가 좀더 축소되더라도 현 단계로서는 급격한 대규모 자본 유출의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봤다. 경상수지 흑자에 따른 민간 부문의 유동성이 풍부하고, 외환보유액도 부족하지 않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그는 "대외 건전성이 전반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에 당장 급격한 유출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 직후 눈여겨볼 대외 리스크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 인상 속도, 신흥국의 금융불안, 미국 트럼프 신 행정부의 경제정책, 내년 초부터 가시화될 브렉시트 과정 등을 꼽았다.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결의 등 불안한 국내 정치 상황과 관련해서는 금융시장이 당장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총재는 "정치적으로 불확실하지만 외부의 평가를 보면 이런 리스크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며 "장기화될 경우에는 우려스려운 점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전했다.
◆한은, 내년 1월 경제성장률 전망치 새로 제시
한국은행은 내년 1월에 2017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새롭게 제시할 계획이다.
그는 "내년 경기 전망은 지난 10월 전망치에 비해 하방리스크가 크다고 할 수 있다"며 "국내 경기의 회복세가 미약하고 내년 전망도 밝지 않다"고 판단했다.
선진국의 경기회복,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한 자원수출국 회복 기대 등은 국내 기업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지만, 미국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강화 우려,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등은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는 진단이다.
이 총재는 "전체적으로 상방 재료보다 하방 리스크의 무게가 더 무거운데, 앞으로 한 달 사이의 흐름을 지켜보고 1월에 전망치를 다시 새롭게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당국이 최근 시장금리 급등에 따라 채권시장 안정펀드 등의 시장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발표한 것에 대해, 한은이 펀드 조성에 참여하는 금융기관의 유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채권시장 안정펀드는 금리가 앞으로 추가적으로 크게 상승해서 채권시장의 작동이 어렵다고 판단될 때 시행하는 일종의 비상 대응계획"이라며 "내내외 여권의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높은 만큼 비상 상황에 대한 대비책을 미리 강구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펀드의 재원은 기본적으로 금융기관 투자로 조성되는 것이지만 필요한 경우 2008년처럼 금융기관의 유동성을 한은이 지원해줄 수 있다"며 "한은이 갖고 있는 컨틴전시 플랜(비상경영계획)에도 이 같은 방안이 다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김다운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