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수기자] 미국 등 선진국 경기회복 추세에 힘입어 올 상반기 수출실적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일평균 수출 역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올 1~6월 수출액은 2천835억6천9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6%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상반기 기준 사상 최대의 수출 실적이다. 역대 상반기 수출 최고치는 지난해 기록한 2천765억달러였다.
일평균 수출도 21억3천만달러로 전년동기(20억5천만달러) 대비 4.5% 늘어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2천632억9천400만달러로 2.7% 늘었다. 이에 따라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무역수지는 202억7천5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의 경우 반도체 등 IT(정보통신)제품이 호조가 실적을 견인했다. 지역별로는 EU(유럽연합)·미국·아세안으로의 수출이 확대됐다.
품목별로는 스마트기기 사용확산으로 무선통신기기·반도체 등 IT제품 수출이 증가했고 자동차·선박·철강 수출도 늘었다. 반면 석유화학은 중국 수요둔화로, LCD는 패널단가 하락으로 감소했다.
수출 증가율은 무선통신기기(12.7%), 반도체(10.6%), 철강(7.2%), 선박(6.6%), 자동차(4.1%) 등은 늘었고 석유화학(-1.6%), 석유제품(-2.1%0, LCD(-8.3%) 등은 줄었다.
지역별로는 EU(11.7%), 아세안(5.9%)으로의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미국(8.2%)의 경우 자동차·무선통신기기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철강·석유화학 등의 수출이 급증하며 전체 증가세를 견인했다. 철강·가전·자동차부품의 호조로 일본(-5.4%)으로의 수출도 전년동기(-11.6%) 대비 감소폭이 둔화됐다.
반면 석유화학·석유제품 등의 중국내 자급률 확대로 중국으로의 수출(-0.1%)은 전년동기(9.7%) 대비 감소세로 전환됐다. 중남미로의 수출도 선박수출 급감으로 부진이 지속됐다.
수입은 자동차 등의 수입 확대로 소비재(11.2%) 수입이 크게 증가했다. 원자재(2.0%)와 자본재(3.3%)도 소폭 늘었다. 원유(0.5%)는 산유국 정세불안 등에 따른 유가상승으로, 가스(6.5%)·석유제품(7.5%) 및 철강(7.9%)는 중국산 저가제품의 수입 확대로 확대됐다.
자본재의 경우 투자확대에 따라 반도체제조용장비 수입이 급증했고, 무선통신기기부품·집적회로반도체 등 IT 부품 수입도 늘었다.
올 들어 지난달 20일까지 기준으로 반도체제조용장비는 81.9%, 무선통신기기부품은 147.0%, 집적회로반도체는 24.2%, LCD는 14.2%, 메모리반도체는 0.2% 늘었다. 프로세서와 컨트롤러는 4.4 줄었다.
소비재는 2천500cc 이하 디젤 등 자동차 수입 증가세가 유지되는 가운데, 과실·육류 등의 수입이 증가했다.
올 들어 지난달 20일까지 기준으로 2천500cc 이하 디젤자동차는 71.2%, 1천500cc 초과 가솔린자동차는 40.8% 늘어났다. 망고 98.2%, 바나나 40.9%, 쇠고기 19.4%, 돼지고기 14.6% 등도 늘었다.
산업부는 상반기 어려운 여건속에서도 중소·중견기업의 선전에 힘입어 우리 수출은 상반기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평가했다.
올 들어 4월까지 수출 증가율을 살펴보면 중소·중견기업 8.2%, 대기업 1.0%였다. 중소·중견기업 수출비중도 지난해 32.8%에서 올 1~4월 33.7%로 확대 추세다. 올 1~4월 세계 주요 70개국의 수입시장이 1.7% 증가에 그친 가운데 우리 수출은 3.5% 늘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미국·EU 등 선진국 경기회복에 따른 글로벌 교역증가 전망 등에 따라 수출이 선박·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증가세가 이어질 것"이라면서도 "우리 수출과 밀접한 중국의 대외수출 회복 불확실성, 원화절상, 이라크 사태 등 위협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품목별로는 선박류·무선통신기기·자동차·자동차부품·석유화학 등의 경우는 4%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의 경우 선진국 수요가 확대되는 가운데 현대자동차 AG, 그랜저 디젤 등 신차 출시확대 및 수출단가 상승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석유화학도 중국·중동 등 대규모 설비증설에 따라 경쟁은 심화되지만, 선진국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확대로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일반기계·컴퓨터·가전·섬유류·철강 등은 0~4%대의 증가를 예상했다. 가전의 경우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한 TV·냉장고·세탁기 등 프리미엄 제품의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컴퓨터는 전 세계 PC시장의 침체 지속에도 태블릿PC 수요확대 및 대용량 보조기억장치 수출호조로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반도체·석유제품·액정디바이스 등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도체는 메모리 가격의 하향 안정화와 프리미엄 모바일기기 시장의 성숙 등으로, 액정디바이스는 TV 패널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수출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정기수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