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DMB 사업자들이 오는 27일 정오 지하철 과천선·일산·분당선의 지상파DMB 중계망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방송중단 결정은 철도시설공단이 지상파DMB 사업자당 10억원씩, 총 60억원에 달하는 시설 점용료를 내야 한다고 통보한 데 따른 것이다. DMB 점용료란 DMB 사업자들이 지하철 구간 내 설치한 중계기 등 설치한 댓가로 지하철 운영사에 지불하는 비용을 말한다.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철도시설공단이 과도한 점용료를 요구하고 있다며 산정방식을 수정하지 않는다면 방송을 중단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한다.
이는 사실상 우호 여론을 이끌어내기 위한 성격이 짙어 보인다.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케이블TV, 위성방송 사업자들이 지상파방송사들과 재송신 대가 문제로 방송을 중단했을 때와 비슷한 효과를 거두기 바랄 것이다. 그러나 반응은 시원찮은 것 같다.
그 때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포털 등 커뮤니티를 통해 방송사의 이기주의와 방송통신위원회의 무능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사안에 대한 관심이 큰 탓에 사업자와 방통위가 나서 진통 끝에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번 지상파DMB의 방송중단의 목소리에는 방송통신위원회마저 경과를 지켜보고 있을 뿐이다. 이렇다 할 행동에 나서지 않고 있다. 방송중단 시에는 현행법에 따라 시정조치할 수 있다는 정도에 그친다.
철도시설공단도 지상파DMB 망을 철거해 철도 이용 고객들이 피해를 봐도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동통신사에도 똑같이 적용하는 점용료 산정방식을 지상파DMB만 달리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지상파DMB 방송사들이 설비를 걷어낸다고 하더라도 그 동안 체납한 점용료는 받아야 한다고 말한다.
'무관심'. 이 단어가 어울린다.
지상파DMB 관계자조차 "방송 중단 이후 아무런 반응이 없다면…사업을 접는 게 맞는지도 모른다"고 말할 정도다.
그 동안 지상파DMB는 정부 정책 지원을 이끌어내는데 시간을 허비했다. 개통료 등 유료화 도입, 재난방송 매체 지정 등의 논의도 물 건너 간지 오래가 돼버렸다.
그런 사이 피처폰이 스마트폰 환경으로 바뀌었고 신기술의 모바일 방송 서비스도 쏟아졌다. 지상파DMB의 설 자리는 갈수록 좁아 보인다. 지상파DMB가 없어도 스마트폰에 눈길이 가는 게 얼마든지 있다.
지금 지상파DMB 사업자들엔 존재의 이유, '사랑'받아 마땅한 이유가 필요하다. 사업 계획서를 짜던 초심을 살려 서비스 구상을 새롭게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기 위해서는 발상의 전환을 해야 한다.
저렴하고 데이터 과부화 걱정이 없는 지상파의 장점을 한껏 살리되, 경쟁자들과 차별화할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절실하다.
정부도 지상파DMB의 새로운 도전을 적극적이고 전향적으로 바라봐야 한다. 과도한 규제는 없었는 지, 사업자 승인만 해놓고 신경을 쓰지 못했는 지 되돌아 봐야 한다. '출구전략'이란 말은 그 다음에나 생각해야 할 사안이다.
김현주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