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개인정보위, 中 AI 딥시크에 질의…"개인정보 수집 범위·목적은?"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에 메일 발송…"답변 여부는 미지수"

[아이뉴스24 윤소진 기자] 보안 취약성 논란에 휩싸인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해 우리 정부가 실태 파악에 나섰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본사에 데이터 수집 범위와 처리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요구했으며, 답변에 따라 추후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다.

딥시크 홈페이지. [사진=딥시크 홈페이지 캡쳐]
딥시크 홈페이지. [사진=딥시크 홈페이지 캡쳐]

4일 개인정보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에 메일 형식으로 공식 질의서를 발송했다. 질의서에는 개인정보 수집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개인정보 관련 어떤 항목들을 수집했는지 상세히 알려달라고 요청했다"며 "보통 개인정보 수집 목적에 맞게 데이터를 이용하는 게 굉장히 중요한데, (딥시크가) 수집한 항목들이 있다면 어떤 목적으로 수집한 건지 구체적으로 답변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인정보 처리 방식이 어떤 형태로 이뤄지는 지도 문의했다"고 덧붙였다.

딥시크는 글로벌 빅테크의 10분의 1 비용으로 챗GPT 최신 모델 수준의 AI 모델을 구현해 주목을 받았다. 다만 딥시크 AI 모델이 수집하는 데이터가 전부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된다고 알려지면서 보안 취약성 우려가 제기됐다. 중국 법에 따라 중국 기업은 정부의 정보 수집에 협조해야 한다. 또 중국 정보의 정보 통제를 받는다는 의혹이 일고 있으며, AI 모델 학습 결과의 신뢰성 부분도 논란이다.

이에 미국, 대만에 이어 일본도 딥시크 앱의 보안성 우려로 사용 제한 조치에 나섰다. 챗GPT 개발사 오픈AI는 딥시크의 기술 도용 의혹을 조사 중이다.

개인정보위는 질의서에 별도의 답변 기한을 정해놓지는 않았다. 딥시크가 충실한 답변을 내놓을지, 답변에 얼마간의 시일이 걸릴지는 미지수다. 업계 관계자는 "구글, 메타 등 큰 규모의 빅테크도 유사한 사안에서 답변에 장기간이 소요됐던 만큼 스타트업 규모의 딥시크가 관련 조직이 잘 갖춰졌을지도 의문이다. 빠른 시일 내에 정부 질의에 답변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딥시크는 여러 논란에 대해 공식적인 답변을 내놓고 있지 않으며, 많은 외신의 문의에도 응답하지 않고 있다. 다만 딥시크가 공개한 기술보고서에서 "수집한 정보를 중화인민공화국에 있는 안전한 서버에 저장한다.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합리적인 기술적, 행정적, 물리적 보안 조치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소진 기자([email protected])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개인정보위, 中 AI 딥시크에 질의…"개인정보 수집 범위·목적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