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혹한기' 맞은 韓 반도체…전문가 10명 중 6명 "現 위기, 내후년 이후도 지속"


공급 과잉·가격 하락·中 기술추격 등 장단기 리스크 겹겹…"외교 노력·대책 필요"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8월 반도체 수출이 26개월 만에 7.8%나 역성장을 기록하는 등 반도체 산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런 위기 상황이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삼성전자 반도체 클린룸 전경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반도체 클린룸 전경 [사진=삼성전자]

5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반도체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국내 반도체 산업 경기에 대한 인식 조사에 따르면, 전문가 10명 중 7명(76.7%)은 현재 반도체 산업이 처한 상황을 '위기(위기 상황 초입 56.7%, 위기 한복판 20%)'로 진단했다. '위기상황 직전'이라는 응답은 20%, '위기상황이 아니다'는 답변은 3.3%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어려운 상황이 금세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상황을 '위기' 혹은 '위기 직전'으로 진단한 전문가들에게 '이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는지'를 묻자, 가장 많은 전문가들이 '내후년 이후에도 지속될 것(58.6%)'으로 전망했다. 이어 '내년까지(24.1%)', '내년 상반기까지(13.9%)', '올해 말까지(3.4%)' 순으로 내다본 전문가가 많았다.

[그래프=대한상의]
[그래프=대한상의]

전문가들은 겹겹이 쌓인 장단기 대외리스크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반도체 공급 과잉, 글로벌 수요 감소 및 재고 증가에 따른 가격하락, 중국의 빠른 기술추격, 미·중 기술패권 경쟁 심화 등의 리스크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 반도체 산업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다"며 "장단기 이슈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에 그 영향이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실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의 하락세도 심상치 않은 분위기다. D램과 낸드플래시의 가격은 최근 수개월째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전문가들과 시장조사기관들은 3분기에도 2분기 대비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10% 이상 하락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반도체 산업이 처한 상황이 최근 10년 내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는 의견도 많았다. '최근 10년 내 있었던 국내 반도체 산업의 부진 시기, 즉 2016년(중국의 메모리시장 진입), 2019년(미중 무역분쟁) 당시와 비교한 현재의 상황'에 대해 전문가들의 43.4%는 '그 때보다 심각한 수준(매우 심각 16.7%, 심각 26.7%)'이라고 응답했다. '유사하다'는 답변은 36.6%, '양호하다'는 답변은 20%(매우 양호 3.3%, 양호 16.7%)로 집계됐다.

앞서 지난 2016년은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시장 진출과 사드 사태 여파로 4년 간의 수출 증가세가 꺾인 해다. 2019년에는 미중 무역분쟁과 글로벌 반도체 다운사이클 여파로 반도체 수출이 전년 대비 약 26%가량 감소(1천281억 불→952억 불)했다.

범진욱 서강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과거 반도체 산업의 출렁임이 주로 일시적 대외환경 악화와 반도체 사이클에 기인했다면, 이번 국면은 언제 끝날지 모를 강대국 간 공급망 경쟁과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중국의 기술추격 우려까지 더해진 양상"이라며 "업계의 위기감과 불안감이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일례로 지난주 애플이 메모리 반도체의 신규 공급처로 중국 YMTC를 낙점한 것은 국내 반도체 산업에 위기감을 안겨줬다는 평가다. YMTC가 애플에 공급하게 될 낸드플래시 부문은 한·중간 기술 격차가 1~2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프=대한상의]
[그래프=대한상의]

또 국내 반도체 산업을 둘러싼 대외현안으로 급부상한 '칩4 논의'와 '미국 반도체와 과학법'의 영향에 대해선 전문가들의 긍·부정 평가가 혼재했다.

먼저 '칩4 논의'가 국내 반도체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36.6%를 차지했다. 그러나 '부정적'이라고 답한 전문가 비중도 46.7%에 달해 논의에 보다 신중하게 임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했다. '큰 영향 없을 것'이라는 답변은 16.7%로 집계됐다.

박진섭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반도체 산업은 엄청난 국제 분업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칩4 대화'에 참여할 수밖에 없다"며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의 R&D·공급망 협력 등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한편, 미·중 경쟁 심화 및 중국의 반발에 따른 부작용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다만 박 교수는 "아직까지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확연하고 중국의 필요가 크기 때문에 당장 반도체 수출이 타격 받을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미국의 반도체와 과학법'의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 전망이 50%, '부정적' 전망은 40%로 집계됐다. '큰 영향 없을 것'이라는 답변은 10%에 그쳤다.

정의영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반도체와 과학법'으로 인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이 미국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될 가능성이 커졌다"며 "가드레일 조항 때문에 중국 투자가 제한받는 등의 부정적 요인도 있지만, 반도체 개발·설계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에 있는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도 또한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래프=대한상의]
[그래프=대한상의]

국내 반도체 산업의 단기적 위협요인으로는 '글로벌 반도체 수요 감소',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글로벌 금리인상 기조', '우크라이나 전쟁' 순으로 우려하는 전문가들이 많았다.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해 가장 시급한 정책 과제로는 '칩4 대응 등 정부의 원활한 외교적 노력(43.3%)', '인력 양성(30%)', 'R&D 지원 확대(13.3%)', '투자에 대한 세제·금융 지원 확대(10%)', '반도체 소재에 대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3.4%)'을 차례로 꼽았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전체 수출의 5분의 1을 담당하는 반도체 수출이 감소한 상황에서 지난주 정부가 '수출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를 통해 반도체에 대한 기업투자와 인력양성을 약속한 것은 다행"이라면서도 "해외기술기업 투자·인수를 위한 특단의 제도 개선과 반도체 경쟁국 사이에서의 적극적이고 세련된 외교 등 반도체 분야 초격차 유지를 위한 보다 근원적 노력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장유미 기자([email protected])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혹한기' 맞은 韓 반도체…전문가 10명 중 6명 "現 위기, 내후년 이후도 지속"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