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허인혜 기자] 미 연준의 금리인상 여파로 국내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수신 기능이 없는 여전사와 보험사가 긴장에 휩싸였다. 카드업계와 캐피털업계는 앞선 악재에 조달금리 상승의 짐까지 지며 전에 없는 시장경색을 우려하고 있다. 보험업계는 운용수익 반등과 역마진 해소를 기대하는 한편 해외 신종자본증권 가산금리 상승에 대한 걱정도 깊어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2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기존 1.75~2.00%에서 2.00~2.25%로 올리는 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올 들어 세 번째 인상으로 한미간 금리차는 0.75%p 늘었다.
한국은행은 26일 오전 비공개 회의와 27일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통해 미국발 금리인상이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미국발 금리인상으로 한국 금리인상의 가능성이 커지면서 수신 기능이 없는 여신전문금융사와 보험업계에는 조달금리 상승으로 인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카드업계, 조달금리 상승·가계대출 규제로 시장경색 가속화
카드업계와 캐피털업계 등 여신전문금융사는 금리 상승의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여신전문금융업은 은행이나 저축은행처럼 수신 기능을 겸한 금융사가 아닌 탓에 회사채 발행이나 차입 등으로 자금을 조달한다. 금리가 오르면 조달금리 역시 동반상승해 건전성 지표를 끌어내릴 수밖에 없다. 지난해 11월 한은이 6년 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25bp 조정하며 조달비용은 이미 오른 상황이다.
나이스신용평가가 18일 내놓은 분석에 따르면 조달비용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오름세로 돌아섰다. 올 6월 기준 카드채(AA) 신규발행 금리는 연0.88%로 1년 전보다 0.7%p가량 확대됐다.
가계대출 규제로 법정최고금리도 연24%로 고정됐다. 여신금융사가 돈을 빌릴 때는 전보다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돈을 빌려줄 때는 전보다 더 적은 수익을 얻는다는 이야기다.
금리인상 외에도 카드업계에 드리운 암운은 짙다. 카드수수료 인하가 현안이자 고질병이다. 내년 카드 수수료가 인하될 경우 카드사들의 영업이익은 작년보다 약 15% 감소할 것으로 나이스신평은 관측했다. 지난해 2조원이던 카드사들의 영업이익(일회성 요인 제외)이 내년에는 1조7천400억원 수준으로 떨어진다는 이야기다. 최근 5년간 카드사 영업이익 중 최저치다.
카드업계의 순익 감소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카드사 순익은 2014년 2조2천억원에서 2016년 1조8천132억원으로 떨어졌고, 2017년에는 1조2천268억원을 기록했다. 카드업계의 공시 기준으로 올해 상반기 신한, 삼성, KB국민, 현대, 비씨, 하나, 우리, 롯데 등 8개 전업계 카드사 순이익은 9천669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31.9%(4천524억원) 대폭 감소했다.
◆보험업계, 저금리 부작용은 씻지만…가산금리 앞에 '전전긍긍'
보험업계로서는 금리인상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긍정적인 요인은 운용수익 상승과 역마진 해소다. 저금리 기조 탓에 최근 보험업계의 운용수익이 지지부진해왔고, 고금리 시절 주력 판매상품이었던 저축성보험의 역마진 우려도 잠재우지 못한 상황이다.
가산금리를 고려할 때는 금리상승이 악재다. 2021년 시행되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신RBC(킥스·K-ICS)로 보험업계가 여러 해째 자본확충에 시달리면서 대규모 해외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단행했다. 이 때문에 한국물에 대한 가산금리도 전에 없이 오른 상황이다. 지난해 한 보험사의 상반기 해외 신종자본증권 발행 가산금리는 2%였지만 최근 3~4%의 가산금리를 요구 받은 보험사도 등장했다.
금리인상의 여파로 현금 유동성 수요가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꾸준히 제기됐다.
임준환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6월 KiRi리포트를 통해 "미국금리에 이어 국내 금리도 추가적으로 인상되면 해지율이 상승하면서 유동성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며 "만약 대량 해약사태가 벌어진다면 현금유동성이 부족한 보험사의 경우 보유자산을 매각해야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보유자산 매각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리인상이 가시화한)현 시점에서 각 보험사들은 현금성 자산 비중을 다시 짜는 전략 수정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허인혜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