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지은 기자] 루크 반 덴 호브 아이멕(imec) 회장은 18일 "imec의 연구원 대부분은 굉장히 열정적으로 시간 제한 없이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 덴 호브 회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최근 국내에서 논쟁 중인 반도체 연구개발직의 주 52시간 규제 완화에 대해 질문을 받고 "(imec 연구소가 자리한) 벨기에는 (연구진에 대한) 근로시간 계약이나 규정이 없다"며 이 같이 답했다.

반 덴 호브 회장은 "(근무 시간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주 40시간인데, 보통 그 이상으로 일한다"고도 했다.
imec은 1984년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 3국이 공동 설립한 민간 반도체 연구소다. 세계 95개국에서 6000여 명의 연구자들이 미래 반도체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반도체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하기 힘든 최첨단 연구를 산학연 공동 기술개발 컨소시엄 형태로 수행하기도 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ASML, 인텔 등도 imec과 협력해왔다. 첨단 반도체 장비 개발, 3나노미터(㎚) 이상 공정 구현을 위한 소재 발굴 등 협력 분야도 폭넓다.
반 덴 호브 회장은 "2~3세대 이후 반도체에 대해 연구개발하고 있다"며 "극자외선(EUV)을 활용한 노광장비에 대해선 상용화되기 10년 전부터 연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메모리 기술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인데 5~10년 후에 상용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은 파트너사는 적지만 imec에 중요한 국가다. 반 덴 호브 회장은 "한국은 파트너 숫자는 적지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처럼 메이저 파트너사가 있고 굉장히 긴밀하게 협업 중"이라며 "대만, 인도, 일본처럼 한국에 해외 연구소를 여는 방안도 열려있다"고 말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만남도 예고했다. 반 덴 호브 회장은 "2년 전에 이재용 회장이 아이멕을 방문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만나 현재뿐 아니라 미래 협력 방안에 대해 계속 논의하고 있다"며 "삼성과 협업 정도는 점점 깊어지고 있으며 이 회장과도 (이번에) 만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반 덴 호브 회장은 2022년 6월 벨기에를 찾은 이 회장과 만나 반도체 분야의 최신 기술과 연구개발 방향 등을 논의한 바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아이멕 본사를 찾은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과 반도체 분야 최신 기술, 연구개발(R&D) 방향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반 덴 호브 회장은 "이번 방한 기간 곽 사장과도 만나려 한다"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는 모듈(빌딩 블록), 차세대 소자, C-FET 등 5∼10년 후 상용화가 예상되는 기술에서 협업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는 17일 산업통상자원특허 소위원회를 열고 반도체 특별법을 심사했지만 소위 통과까진 이르지 못했다.
반도체 특별법에 담긴 연구개발직에 대한 52시간 규제 완화를 놓고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한 탓이다.
여당은 "산업계의 요구에 따라 연구개발직이 몰아 일하고 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야당은 "근로시간 규제의 근간을 흔들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맞서고 있다.
/박지은 기자([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