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갑기자]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고용 유발 효과가 오는 2020년 약 7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생산 유발액은 약 10조1천억원, 부가가치 유발액은 3조2천억원으로 분석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일 '스마트 광고 산업 발전의 장애 요인 및 개선 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지난 2015년 12월 미래창조과학부가 국내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이 2016년 현재 약 2조5천500억원에서 오는 2020년 3조9천700억원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한 데 따른 분석 결과다.
스마트 광고 산업의 일종인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를 활용해 각종 정보와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광고 시장은 매체별 명암이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5년 디지털 기술 융·복합이 용이한 매체의 성장세가 두드려졌다. 모바일 광고 시장은 지난 2012년 2천100억원에서 2015년 1조2천800억원으로 3년 간 6배 이상 늘어났다. 버스정류장 쉘터 광고의 경우 지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연 평균 20.7% 상승했다.
반면 신문 광고는 지난 2012년 1조6천500억원에서 2015년 1조5천억원으로 약 9% 감소했다. 지상파 텔레비전 광고는 지난 2012년 1조9천300억원에서 2015년 1조9천700억원으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 교통수단을 활용한 옥외 광고도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정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진흥을 위해 기존 '옥외광고물 관리법'을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로 개정해 오는 7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개정 법률은 기존에 디지털 사이니지를 합법화하고 옥외 광고물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자유표시구역'을 도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김영신 한경연 연구위원은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해 상호 작용이 가능한 변형 광고가 등장하면서 디지털 기술 융·복합이 용이한 쉘터 광고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며 "스마트광고 산업은 정보통신 기술 발전과 함께 급속도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 발전을 위해 관련 규제를 보다 완화하고 자유표시구역 지정을 서둘러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한경연 관계자는 "개인정보 보호법은 디지털 사이니지의 진화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비식별화된 개인정보를 사전에 활용하고 당사자가 사후에 거부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의 법제화 추진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원갑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