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국배기자] 데이터 요금 걱정없이 편리하게 무선인터넷을 사용하게 해주는 무료 와이파이(Wifi)가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보안 우려를 낳고 있다. 무선 와이파이 설치만 늘어날 뿐 제대로 된 관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26일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 따르면 공공 와이파이 존(zone)은 2012년 2천개에서 2015년 12월 기준 1만1천280개로 6배 가량 늘었다.
와이파이 존은 여러 개의 와이파이 중계기(AP)가 설치돼 와이파이 접속이 가능한 장소를 말한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1천124개로 가장 많고 경북이 951개, 서울이 830개로 뒤를 잇고 있다. 이 사업은 미래부와 통신 3사, 지방자치단체 간 매칭펀드 방식으로 투자가 이뤄졌다.
서울시의 경우 무료 와이파이 지역은 더욱 불어날 전망이다. 최근 서울시가 내놓은 '디지털 기본계획 2020'에 따라 현재 5천220여 개인 AP 수는 2017년 1만개로 늘어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올해 17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서울시가 조성하는 무료 와이파이 존과 미래부가 추진하는 공공 와이파이 존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서울시 이방우 정보통신기획팀장은 "서울시가 구축하는 무료 와이파이는 주로 관광명소, 공원, 주요 거리 등 실외에 집중돼 있고 공공 와이파이 사업은 보건소, 주민센터, 터미널 등 실내 다중이용장소가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문제는 무료 와이파이가 보안에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다.
지난해 미래부가 새누리당 민병주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 89개 지역 263개 공공장소에서 공유기 보안 현장점검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6곳을 제외한 257곳이 해킹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선보안 전문업체 관계자는 "이미 공유기 취약점을 통한 파밍(Pharming) 공격이나 공유기가 디도스(DDoS) 공격에 동원되는 사례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예산 부족, 보안 정책·인력 부재 등의 이유로 정기적인 보안 실태조사 같은 적절한 관리는 어려운 실정이다.
공공 와이파이 존의 운영주체는 오는 3월께 NIA에서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OTA)로 바뀌는 것으로 알려진다.
NIA 관계자는 "예산이 없다보니 하다못해 서버 운영조차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내년 역시 와이파이 존 신규 구축보다는 통신사 와이파이 개방 위주로 사업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도 무료 와이파이 보안에 대한 정확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병우 팀장은 "케이블 수리 등 (설치 부분에 대한) 유지 관리계획은 있지만 구체적인 보안 지원계획은 마련중"이라고 전했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보안 등) 관리계획을 갖춘 상태에서 설치를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상황"이라며 "안전성을 위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국배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