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숙기자] 2016년 병신년(丙申年) 정치권의 최대 이슈는 제20대 총선이다. 4월 13일 '선택의 날'을 앞두고 여야 정치권은 지난해 말부터 당 체제를 정비하고 총선 전략을 세우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이번 총선은 집권 4년차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을 띠고 있다. 2017년 대선을 1년 8개월 앞두고 치러지는 선거여서 차기 대선 전초전 의미도 있다. 여야 각 정당이 총력전에 나설 수밖에 없는 이유다.
그러나 여야의 속내는 복잡하다. 표면적으로는 총선 승리라는 한 가지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모습이지만, 당 내부에서는 계파별 이해득실에 따라 엇갈린 목소리가 분출하는 등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與 공천 룰 갈등 고조…가산점·결선투표 쟁점
새누리당 내에서는 공천 룰을 놓고 친박계와 비박계의 신경전이 치열하다. 지난해 말 공천제도특별위원회가 출범, 공천 룰 논의에 본격 착수하면서 양측의 공방은 더욱 거세지는 양상이다.
최근 불거진 쟁점은 '가산점'이다. 특위는 경선 때 여성·장애인·정치 신인에게 각각 10%의 가산점을 주기로 잠정 결정했다. 여성·장애인은 물론 정치 신인에게까지 10%의 가산점을 주자는 데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문제는 정치 신인의 범위다.
친박계는 총선에 한 번도 출마하지 않은 인사는 정치 신인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청와대 참모 또는 장·차관 출신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의미다. 비박계는 언론 노출을 통해 인지도를 쌓은 청와대 참모, 장·차관 출신에게까지 가산점을 주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입장이다.
당 지도부가 도입키로 결정한 결선투표를 놓고도 친박계는 과반 득표자가 없을 때, 비박계는 1·2위가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일 때 각각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결선투표 때도 1차 투표 때와 마찬가지로 가산점을 적용할지 여부도 논란거리다.
가산점과 결선투표는 현역 물갈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친박계와 비박계 모두에게 민감한 사안이기도 하다.
청와대 참모, 장·차관 등 박근혜 정부 요직을 지낸 인사들을 앞세워 당 텃밭인 대구·경북(TK) 주도권을 되찾으려는 친박계와 이를 저지하려는 비박계가 충돌하면서 총선 국면 새누리당의 내홍은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이밖에 현역 의원에 대한 평가를 강화해 사실상 '컷오프' 효과를 거둬야 한다는 주장, 당원과 일반 국민의 경선 참여 비율 조정 문제, 안심번호 도입 여부 등 갈등 소지는 곳곳에 산재해 있다.
◆분당 위기 맞은 더민주, 내분 수습 가능할까
내분에 휩싸인 더불어민주당(옛 새정치민주연합)도 표면적으로 당 혁신 방안이 쟁점인 것처럼 보이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총선 공천권을 둘러싼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이 자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말 당명을 바꾼 데 이어 '김상곤 혁신위'가 제시한 혁신안을 토대로 선출직공직자평가위를 통해 현역 의원 평가를 실시하는 한편, 정당 역사상 최초로 온라인 당원 가입을 진행하는 등 총선 체제에 본격 돌입한 상태다.
그러나 안철수 의원 탈당 이후 당 내분이 극단으로 치달으면서 총선 공천 등의 문제는 상대적으로 관심 밖으로 밀려난 모양새다.
안 의원의 뒤를 이어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비주류 의원 7명이 당을 떠난 뒤 탈당 사태는 잠시 소강 국면을 맞았지만, 연초 추가 탈당이 예고되는 등 당 전체가 살얼음판이다.
특히 주목받는 인물은 김한길 전 대표다. 김 전 대표가 탈당할 경우 10여명이 추가 탈당할 것이란 전망이 당 안팎에서 나온다. 김 전 대표는 2007년 대선 때도 의원 20여명을 이끌고 열린우리당을 탈당, 여권 재편에 역할을 한 바 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 권노갑 상임고문 등 동교동계 인사들도 탈당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분위기를 의식한 듯 문 대표는 최근 '단합', '통합'을 외치며 당 수습을 위해 분주히 뛰고 있다. 중진·수도권 의원들이 중재안으로 내놓은 조기 선대위 구성도 "추가 탈당 방지 약속"을 전제로 수용하겠다고 했다. 선대위가 꾸려지면 총선 관련 권한을 넘겨주는 방식으로 사실상 2선 후퇴를 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더불어민주당 분열과는 별개로 야권은 '선거 연대'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안 의원이 주도하는 신당, 무소속 천정배 의원이 이끄는 '국민회의(가칭)', 박주선 의원의 통합 신당 등 잇단 신당 출현이 야권 표 분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윤미숙기자 [email protected] 사진 조성우 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