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기자] 1조7천억여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재난안전통신망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민안전처는 3월중으로 사업자를 선정하고 4월 시범사업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국민안전처는 24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 공청회를 열었다. 이날 공청회에서 국민안전처는 LG CNS와 함께 마련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초안을 공개했다.
이날 발표된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재난망 사업에 약 1조7천억원의 자금이 투입된다. 재난망 구축에 9천241억원이 비용이 책정됐으며 오는 2024년까지 운영에 필요한 비용이 7천728억원이 필요하다.
정부는 PS-LTE 방식으로 재난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군, 경찰, 소방, 해경 등 8대 분야 330개 필수기관이 재난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국 단일 자가망을 구축한다. 기존에 구축된 상용망은 시범사업에서 추가로 검증한 뒤 이용범위를 결정하기로 했다.
재난망 운영은 전담조직을 통해 정부가 직접 담당하며 유지보수 업무는 민간에 위탁할 계획이다.
국민안전처 심진홍 재난정보통신과장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 기반 인프라라는 재난안전통신망의 특수성을 고려해 정부가 직접 운영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사업자 선정방식 '혼합형 분리발주' 유력
관심이 집중됐던 사업자 선정 방식의 윤곽도 드러났다. 정부는 공청회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3월중에서 사업자를 선정 공고를 낸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사업자를 시범사업, 확산사업, 완료사업 등 세 단계별로 사업자를 선정하기로 했다. 선정방식은 일괄발주와 분리발주, 혼합발주 가운데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최종결정한다는 계획인데 혼합발주가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심진홍 과장은 "일괄발주와 분리발주 가운데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혼합형 분리발주가 대안으로 제시됐다"며 "혼합형 분리발주는 2개 사업자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사업자 독점방지는 물론 다양한 기술을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 사업관리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고 강조했다.
◆시범 사업은 평창동계올림픽 지역부터
시범사업은 오는 4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다. 평창동계올림픽 지역인 강릉과 평창, 정선이 대상지역이다.
정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재난망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운영센터를 설치하고 상용망 서비스 이용범위를 검증한다. 또한 재난망 운영환경에서의 장비 등에 대한 성능검증도 진행한다.
확산사업은 2016년에 진행된다. 세종, 충북, 충남, 전북 등 전국 9개 시도가 대상지역이다. 확산사업을 통해 정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확보한 장비를 국제표준에 적합하게 업그레이드하고 운영센터의 응용시스템을 보강할 계획이다.
2017년에 진행되는 완료사업은 서울과 경기 및 6대 광역시가 대상지역이다. 기존 테트라망을 재난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재난망의 신뢰성과 생존성 확보를 위해 백업센터도 구축한다.
국민안전처 심진홍 재난정보통신과장은 "오늘 발표한 계획은 초안이며 오늘 공청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해 보완할 계획"이라며 "3월에 공고를 내고 4월중에는 시범사업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허준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