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나영기자] 방송채널사용사업(PP)의 발전을 위해서는 저가화된 유료방송시장의 정상화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유료방송시장이 저가로 고착화되면서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의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수신료 배급에 왜곡이 발생한다는 것. 특히 통신사업자들이 통신상품이나 인터넷과 TV를 연계해 판매하고 있는 결합상품이 방송시장의 저가화를 부추기고 있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18일 경기도 고양시 빛마루에서 진행된 'PP산업 발전전략 컨퍼런스'에서 '한미FTA 본격 시행에 따른 PP시장 대응방안'을 주제로 발표한 이상기 부경대 교수는 "한미FTA 발효 1년을 앞둔 시점에서 PP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국내 유료방송시장의 구조개선이 시급하다"며 "특히 PP의 경우 외형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저가로 형성된 가격체제의 문제로 그 수익구조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PP의 수입구조는 수신료 수입이 20%대로 매우 저조해, 전체 수입의 70% 정도를 광고매출에 의존하고 있다. 반면 미국 PP의 수입구조는 전체수입의 50% 이상이 수신료 수입으로 구성돼 있다.
유료방송시장의 저가화를 고착시키고 있는 이유 중 하나로 통신사업자들의 결합상품 판매를 꼽았다.
이상기 교수는 "결합상품 판매시 방송서비스 요금을 다른 서비스보다 높게 할인하는 방법으로 방송 매출액의 모수를 축소하고 있다"며 "통신사업자들의 저가 출혈경쟁은 PP수신료 배분 규모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료방송 PP산업의 문제점과 진단 정책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미디어미래연구소 이종관 연구실장 역시 "방송은 통신과 달리 PP와 플랫폼이 전후방으로 연계되는 산업이기 때문에 방송을 할인하게 되면 시장에 악영향이 될 수밖에 없다"며 "결합상품을 통해 PP의 수익기반이 낮아지고 PP의 경쟁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책당국과 업계의 인식을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PP의 수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 개별 플랫폼 사업자들의 수신료 수익을 명확히 파악하고 프로그램 사용료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상기 교수는 "개별 플랫폼 사업자들의 정확한 경영정보를 수집하는 방안을 마련해, 20%에 머물러 있는 프로그램 수신료를 30%까지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며 "더불어 정부는 이런 자료를 정확하고 성실하게 제출하는 사업자에게는 정책적인 지원을 병행하는 등의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양휘부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장은 "유료방송플랫폼간의 과열경쟁·출혈경쟁으로 인해 방송이 사은품으로 전락하고, PP콘텐츠가 제 값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며 "내년 3월에 발효되는 한미FTA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유료방송플랫폼과 PP가 동반자로 성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나영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