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미하기자]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이 한국 주도로 개발된 사이버보안 분야 국제표준과 부속서를 채택했다.
미래창조과학부 국립전파연구원(원장 서석진)은 지난 1월24일 끝난 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 회의에서 순천향대 염흥열 교수와 ETRI 나재훈 연구원의 사이버보안 분야 국제표준과 부속서가 최종 채택됐다고 11일 발표했다.
이번에 채택된 사이버보안 분야 국제표준은 2건으로 염 교수가 개발한 'ICT 활용에 있어서 사이버보안 리스크 지표', 'IP 기반 네트워크에서 보안 문제 해결 매커니즘'이다. 또한 염 교수가 개발한 부속서 '인터넷 상에서 공격자의 IP 주소를 식별하기 위한 역추적 메커니즘'과 나 연구원이 개발한 '웹 매쉬업 서비스를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 'XACML 표준의 개선과 특징' 등 총 3건의 부속서가 채택됐다.
'ICT 활용에 있어서 사이버보안 리스크 지표'는 기업이 자신의 보안수준을 평가한 후, 보안 투자가 필요한 영역과 투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표준이다. 지난 2010년 4월부터 한국 주도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해 왔으며, 국내 국가정보보호지수에 포함된 지표들도 해당 조직에 맞게 수정되어 대부분 포함하고 있다.
'IP 기반 네트워크에서 보안 문제 해결 매커니즘'는 네트워크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 정보를 찾아내기 위한 기술과 가이드라인 및 평가기준을 담고 있다. 이 표준은 2009년 9월 SG17 회의부터 일본 정보통신연구기구 NICT와, 미국 네트워크 장비 개발업체 시스코(CISCO), 중국 통신연구학회 CATR 등의 보안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한국 주도로 개발됐다.
부속서인 '인터넷 상에서 공격자의 IP 주소를 식별하기 위한 역추적 메커니즘'은 네트워크 사업자가 네트워크 계층에서 IP 주소를 위조하는 사이버 공격자를 식별하기 위한 다양한 역추적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
'웹 매쉬업 서비스를 위한 보안 프레임 워크'는 유무선 웹 서비스 환경에서 웹 매쉬업 정보보호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정보보호 프레임워크 및 매쉬업 환경의 위협에 대응하는 규범이다. 향후 웹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들의 정보보호 기술표준 지침서로 활용될 예정이다. 매쉬업이란 다중 도메인으로부터 콘텐츠(데이터, 코드 등)와 서비스를 부분적으로 융·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응용서비스의 일환을 말한다.
'XACML 표준의 개선과 특징'은 웹 서비스 환경에서 리소스 사용에 대한 인증 및 인가에 대한 개정서인 XACML 3.0의 개선사항과 신규 기능에 대한 요약서다. 이 부속서는 국제 표준 제정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 OASIS 포럼에서 개발 진행 중인 기능들도 포함돼 있어 동종 업계의 기술 및 표준 개발에 활용이 기대된다.
서석진 국립전파연구원 원장은 "이번 ITU-T SG17 회의에서 채택된 2건의 국제 표준과 3건의 부속서는 우리나라의 사이버 보안 기술을 국제표준화 함으로써 사이버보안 국제표준 개발에 있어 한국의 주도적 입지를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정미하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