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남기자] 업계는 6일 정부가 국내 815곳의 산업단지를 활용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산업부문·지역 및 기업간 양극화 등 해결해야 할 숙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실제 정부가 2000년대부터 첨단산업을 국가 주력사업으로 육성하면서 첨단산업의 대표격인 정보통신(IT) 산업과 전통 제조업의 성장률이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 1999년∼2009년 간 제조업의 연평균 성장률은 6.5%인 반면, IT산업은 13.3%의 고성장세를 기록했다.
또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와 기업의 수도권 집중 현상도 정부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지난 우리나라 제조업 총생산에서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1998년 59.7%에서 2008년 61.6%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종사자 300인 이상 대기업 수는 26.4%(855개→629개사) 감소한 반면, 중소기업 수는 14.9%(27만8천68개사→31만9천424개사) 증가한 사실을 감안할 경우 국내 경제의 대기업 의존도가 더 높아졌다.
이들 대기업들의 본사가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 지방 일자리 감소를 부추기고 있다. 현재 국내 1천대 기업 가운데 본사가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은 701개社에 이른다.
아울러 산업단지를 활용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가 정책적으로 제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고 관련 업계는 주장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IT 경쟁력을 접목한 디지털 컨버전스, 산업간 융복합 및 신사업모델 창출 등으로 전통제조업도 재도약과 함께 일자리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며 "특히 디자인과 같은 지식서비스산업을 제조업에 접목시켜 부가가치를 높이는 일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등 통신·소프트웨어·엔지니어링·출판·인쇄 산업 등도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업계는 분석했다.
이와 함께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육성이다. 이를 위해 지식경제부는 지난 2009년 3대 분야 17개 신성장 동력산업의 육성을 발표했다. 지경부는 이들 17개 산업을 단기·중기·장기 과제로 나눠 차별화된 발전 전략을 펼친다.
우선 5년 이내 성장동력화가 가능한 단기과제로 조력·폐자원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IT융합시스템, 글로벌헬스케어, 관광·첨단 그린도시를 선정하고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지경부는 5년∼8년 이내의 중기과제로는 태양·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와 고도물처리, 탄소저감에너지(원전), 고부가 식품산업, LED응용, 글로벌 교육서비스, 녹색금융콘텐츠, 소프트웨어 등을 선정해 육성한다.
지경부 관계자는 "이 같은 신성장동력 산업에 정부는 오는 2013년까지 24조5천억원을 투입해 4천342억달러의 수출과 144만명의 고용, 387조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며 "앞으로는 전통제조업에 최첨단 산업을 입혀 향후 새로운 제조업으로 세계 시장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정수남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