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썩이는 물가 잡기'와 '경제성장 기조 유지' 중 우선 순위는 무엇일까.
한국은행 기준금리(현재 2.5%) 인상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는 가운데 13일 금융통화위원회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
연말연초 주로 생필품과 농산물, 공공요금 등을 중심으로 한 물가 불안 현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기대 인플레이션 우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준금리 인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금리 인상으로 물가 인상을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을지도 불투명한데다, 경기둔화를 감안하면 연초부터 금리를 올리기에는 정책당국의 부담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금통위는 지난 1999년 이후 10년간 1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한 적이 없다.
◆2월 인상에 무게두는 분위기
HMC투자증권 이정준 연구위원은 12일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려는 정책당국 입장에서는 기준금리 인상에 신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1월에는 금리가 동결되고 2월에나 금리인상이 재개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연구위원은 "최근 물가 상승이 농산물 및 원자재 가격 상승이라는 공급측 교란 요인에 의한 것이므로, 기준금리 인상으로 억제되기 어렵고 정부가 내놓을 서민물가 안정대책의 효과를 확인한 후 기준금리 인상 재개 시점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럼에도 금리 인상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연초부터 정부는 물가 상승률을 3%대로 묶어두기 위한 전쟁을 선포하고 한은도 금융통화정책을 운용하면서 '물가안정'에 방점을 두는 등 정부 정책 기조가 '물가'에 집중돼 있는 상황이다.
또 지난 12월 기준 주택담보대출 규모(3조8천억원)도 1년 반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자산버블의 기미도 보인다.
물가 잡기와 경기 부양이라는 딜레마 속에서 금통위가 내일(13일) 어떤 결정을 할지 주목된다.
김지연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