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국방부 등 26개 인터넷 사이트가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의 타깃이 됨에 따라 정부가 뒤늦게 사태 파악에 나섰다.
국가정보원은 이번 DDoS 공격이 청와대 등 주요 공공기관을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국가 차원에서 치밀하게 준비한 것으로 판단, 배후에 주목하고 있다.
8일 국가정보원은 청와대·총리실·방통위·국방·외교부·금융위 등 12개 기관으로 구성된 '사이버안전 실무회의'를 소집, DDoS 피해 실태와 조치 현황을 파악하고, 사이버 위기경보 단계를 '주의'로 상향 조정했다.
또 이번 공격이 아무런 이해관계가 없는 국내 PC 1만2천여대와 해외 PC 8천여대가 악용된 것에 주목, 공격 주체 파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아울러 국회 계류중인 국가사이버위기관리법 제정을 통해 사이버테러 방지를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도 강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DDoS 공격 주체에 대한 그 어떤 정보도 확인되지 않은 상황. 국정원을 비롯, 방통위·정보보호진흥원이 원인 파악에 나섰지만, 사건 발생 하루가 지난 현 시점에서도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정원 측은 "국가간 분쟁 시 군사적 충돌 전 상대국의 통신 체계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DDoS 공격이 악용될 수 있다"며 "최근 국가 사이버전이 DDoS 공격을 단행, 정부 기능을 마비시키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유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DDoS 공격은 국가기관 홈페이지 접속 장애일 뿐 해킹은 아니다"며 "국방부·외교부 등 외교안보부처 업무망을 지난 3월부로 인터넷망과 분리, 정부 문서 유출이나 업무 마비 사례는 없다"고 말했다.
서소정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