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공장 설립은 우리 산업의 역사에서 수난의 연속이었다. 하이닉스 뿐아니라 삼성전자도 반도체 공장 설립 때문에 적잖은 고민을 해야했다.
지난 82년 이른바 '도쿄선언'으로 반도체 사업 강화를 선언한 고 이병철 삼성 회장. 그는 삼성반도체(현 삼성전자) 부천 공장을 대체할 입지를 찾고 있었다. 당시 수원, 신갈저수지, 판교, 기흥, 관악골프장 부근등이 후보지로 올랐다.
수질, 지질 전문가들을 대동하고 헬기로 후보지들을 살펴보는 노력 끝에 이병철 회장은 기흥을 택했다. '그릇이 흥한다'는 지명의 뜻 또한 반도체사업의 입지로 이 회장의 눈에 들었다.
그런데 당시 기흥은 절대 농지에다 산림 보존지역이었다. 공장 설립 자체가 불가능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정부를 상대로 끈질긴 설득 작업에 들어가 마침내 1차 10만평에 대한 설립 허가를 받아냈다.
한국 반도체 산업의 중심인 삼성전자 기흥공장은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탄생했다.
최근 공장 신축이 한창인 삼성전자의 경기도 화성 동탄의 공장의 탄생도 순탄치 않았다. 지난 2005년 총 30조원의 투자가 발표된 삼성전자의 화성 공장은 땅 값이 문제였다.
삼성전자의 화성 라인은 지난 99년 5월 정부로부터 산업단지로 지정되고, 건설계획을 승인 받았다.
삼성전자는 기존 기흥라인에 이어 화성 반월리에 먼저 라인을 건설했고 추가로 화성 동탄에 신규 라인을 건설키로 했다.
문제는 동탄 신도시 개발이 확정되면서 토지공사가 16만평에 이르는 삼성전자 공장 예정 부지의 가격을 평당 200만원 이상으로 고수하면서 비롯됐다.
땅값이 너무 비싸다고 판단한 삼성전자는 감사원에 민원을 제기하는 등 토지 매입비를 낮추기 위해 토지 공사와 팽팽한 대립을 펼쳤고 결국 2005년 초 땅값은 유지하되 다른 지원을 받는 것으로 합의를 이뤄내 투자가 진행될 수 있었다.
자칫하면 땅 값 때문에 세계 메모리 반도체 1위 업체인 삼성전자의 경쟁력이 흔들릴 뻔한 순간이었다.
세계에 한국 반도체의 요람으로 알려진 삼성전자 기흥 공장은 완공후에도 수난을 당할 뻔 했다.
지난 2005년 용인시가 구성읍과 기흥읍을 통합해 구흥구로 변경할 계획을 발표한 것이다. 자칫 20년 넘게 쌓아온 'D램=기흥'이라는 인식이 송두리째 무너질 처지에 놓였던 셈이다.
그나마 삼성전자측의 노력 등으로 인해 지명 변경 계획은 없던 일이 됐고 용인시는 기흥구를 통합 지명으로 선택했다. 덕분에 삼성전자 기흥 공장도 이름을 유지할 수 있었다.
백종민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