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기자수첩]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하려면, 클라우드 전환 적극 나서야


기자수첩

[아이뉴스24 박진영 기자] 공공 클라우드 전환 완료 시점이 당초 2025년에서 2030년으로 연기됐다. 행정안전부 주도 사업에서 부처별 추진으로 바뀌었고 올초 관련 예산이 대폭 삭감되면서 계획에 차질이 빚어졌다.

전 정권에서 추진해온 클라우드 전환 계획은 사실상 무산됐다. 현 정권의 소극적 태도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물론 정부는 나름대로 공공 클라우드 전환의 새 판을 구상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행정안전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디지털 정부 기반 전면 재설계 BPR·ISP' 사업 수행 업체 선정 작업을 진행 중이다.

클라우드 도입을 위해 공공기관 시스템을 분류·점검하는 등 국내 상황에 맞는 클라우드 전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이 작업은 5개월 간 진행되는데, 여기서 도출한 전략이 공공 예산에 반영되려면 내후년은 돼야 실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공공시장 진출을 준비해 온 국내 클라우드 업계는 애가 탈 수밖에 없다. 상당수 업체는 공공 도입에 필요한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을 획득하고 인력을 확대하고 기술 개발까지 마쳤다.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했지만 시장이 예상 밖으로 흘러가면서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공공 클라우드 정책의 후퇴는 업계 손실 뿐 아니라 윤석열 정부의 중점 과제인 '디지털플랫폼정부'에도 부정적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핵심이 클라우드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디지털플랫폼정부는 부처 칸막이를 해소하고 공공과 민간의 모든 데이터가 융합·연결되는 맞춤형 서비스를 지향한다.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데이터·인공지능·플랫폼 등 신기술 활용이 가능한 유연한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정부용 챗GPT를 개발하기 위해 대규모 데이터을 수집·분석하기 위해서라도 클라우드가 필요하다.

공공 클라우드를 강화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다. 한국IDC 발표에 따르면, 올해 전세계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 규모는 약 128조 규모다.

공공 클라우드 생태계 발전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예산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연도별 클라우드 예산 확보 변동이 심해 민간 클라우드 계약 대신 정부 클라우드를 선호하는 기관이 많기 때문이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구축・운영하는 정부클라우드 이용 비중이 높은 편이다. 공공 클라우드 사업에 국내 사업자의 진출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국가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를 기대한다.

/박진영 기자([email protected])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기자수첩]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하려면, 클라우드 전환 적극 나서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