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LG전자가 올해 임직원 평균 임금 인상률을 6%로 결정하면서 치열한 협상을 벌이고 있는 삼성전자에 관심이 쏠린다. 올해 임금 기본 인상률을 사측이 1%대 수준으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노조 측은 10%를 주장하고 나서 LG전자와 달리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와 LG전자 노동조합은 올해 평균 임금 인상률을 6%로 합의하고 이날 조직별 설명회 등을 통해 임직원들에게 안내했다. 평균 임금 인상률은 기본 인상률에 고과별 인상률을 합한 것으로, 개인별 임금 인상 수준은 고과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 LG전자는 임금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직급별 초임을 각 200만원씩 올렸다. 이에 따라 신입사원 초봉은 지난해보다 200만원 많은 5천100만원으로 오른다. 선임급은 6천만원, 책임급은 7천550만원이다.
다만 올해 LG전자의 평균 임금 인상률은 최근 2개년에 비해 소폭 떨어진 수치다. LG전자의 주력 사업인 가전과 TV 업황이 올해 글로벌 인플레이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는 2021년과 2022년 평균 임금 인상률을 9%, 8.2%로 정하며 2년 연속 높은 수준의 임금 인상을 단행했다. 2018~2020년 임금 인상률은 연평균 4% 안팎이었다. 2021년 이후 최근 3년 평균 임금 인상률은 7.7%다.
LG전자의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은 1인당 1억1천2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5.5% 증가했다. 남성 직원은 1억1천600만원, 여성 직원은 9천만원으로 집계됐다.
LG전자 관계자는 "인상된 임금은 3월 급여부터 적용되며 4월 급여 지급 시 소급 적용된다"며 "만 35세 이상 미혼자 직원의 직계존비속 건강검진 지원 등 일부 복리후생 제도 지원도 이번에 확대했다"고 말했다.
경쟁사인 LG전자의 이 같은 움직임으로 삼성전자의 노사 임금 협상 결과에도 관심이 쏠린다. 사측은 이달 임금·단체협약 본교섭에서 노동조합에 1%대 기본 인상률을 제시한 바 있다. 기본 인상률은 전 직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실제 임금 인상률은 개인 고과에 따른 성과 인상률을 더해 정해져 통상 기본 인상률보다는 높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역대 최고 수준인 기본인상률 5%, 성과 인상률 4% 등 9.0%의 인상률을 적용했다. 하지만 올해는 경영 환경 악화와 실적 부진 등을 이유로 인상률을 전년보다 낮출 것을 노조에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4조3천61억원에 머문 것을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이는 전년 대비 68.95% 감소한 수치로, 삼성전자 분기 기준 영업이익이 4조원대를 기록한 건 지난 2014년 3분기(4조600억원) 이후 8년 만이다.
사측은 여기에 임금피크제 근무시간 5∼15% 단축, 배우자 출산휴가(15일) 2회 분할 사용 가능 등도 제시했다.
그러나 노조는 반발하고 있다. 물가 인상율 등을 고려하면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또 사실상 직원들에게 실적 부진의 고통을 전담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노조는 올해 임금인상요구율을 10%로 확정했다. 또 ▲재충전 휴가 7일(미사용시 소멸 조건) ▲창립기념 휴일 ▲노조창립일 축하금(30만원)과 휴무일 지정 등을 요구하고 있다.
삼성전자 노사 실무진은 작년 12월 21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지난 7일까지 총 10차례에 걸쳐 임금·복리 본교섭을 진행해 왔다. 노조 공동교섭단에는 삼성전자사무직노동조합, 삼성전자구미노동조합, 삼성전자노동조합 '동행',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등 4개 노조가 참여하고 있다. 작년 8월에는 1969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사측이 노조와 임금 협약을 맺었다.
노조 측은 "지난해 갤럭시 S22 게임최적화서비스(GOS) 사태 등은 경영진의 잘못인데 직원들에게 고통을 전담하고 있다"며 "사측의 1%대 제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900만원가량 줄어든 1억3천500만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연봉 감소는 2019년 이후 처음이다. 남성 직원은 평균 1억4천300만원, 여성 직원은 1억1천만원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강성 노동조합이 보호하는 대기업 정규직 위주의 높은 임금 인상이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심화시키고 있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양극화에 따른 노동시장 이중구조는 결국 모든 기업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럼에도 일부 대기업 노조의 연봉 인상 요구는 그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아쉽다"며 "일본 도요타가 연공서열 중심의 임금 체계를 전면 개편한 것처럼 우리나라도 연공서열식 호봉제에 기반한 임금 체계가 아닌 '직무·성과형' 임금 체계가 도입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장유미 기자([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