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지하철이나 버스 등 갑갑한 공간에만 가면 가슴이 답답하고 호흡이 곤란하면서 두통이 발생하는 이들이 있다. 이런 증상이 있으면 ‘공황장애’를 의심해야 한다. 젊은 층에서 최근 증가 추세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황장애 평생 유병률은 1~4%로 정신질환 중 높은 편에 속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살펴보면 공황장애로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는 2014년 9만3천명에서 2020년 19만6천66명으로 6년 동안 110%나 증가했다. 공황장애에 대한 높아진 사회적 관심과 정신건강의학과에 대한 편견이 줄어들면서 진료를 받는 환자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백명재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젊은 층의 공황장애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어지러움 등 신체증상이 갑자기 혹은 극심하게 나타나는 공황발작이 공황장애의 주요 증상”이라며 “공황발작이 나타나면 많은 사람들은 심장마비, 호흡정지, 뇌출혈 등 심각한 질환으로 오인해 반복적으로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관련 검사를 받는데 뚜렷한 신체적 원인을 발견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공황장애는 특별한 이유 없이 나타나는 극단적 신체 증상이 반복되면서 신체증상에 대한 불안으로 이어져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불러온다. 환자의 절반 정도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하는 특성을 보이는데 다른 정신질환과 같이 뚜렷한 유발 요인이 없이 나타나기도 한다. 여러 연구에서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등의 불균형, 뇌기능의 이상과 같은 신경생물학적 원인을 손꼽기도 한다.
백 교수는 “공황발작뿐 아니라 언제 어디에서 공황발작이 생길지도 모른다는 불안과 지하철, 버스 등과 같이 갑갑한 환경을 회피하는 증상을 보인다면 공황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며 “공황장애 치료법은 꾸준히 발전하고 있는데 여전히 만성적이고 증상이 악화된다는 질환의 특성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약물치료와 심리치료 이외에도 꾸준한 자기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급성기 증상은 약물치료에 비교적 잘 반응한다. 약물치료를 중단하면 잦은 공황발작을 다시 경험하다보니 장기간 약물치료를 유지하기도 한다. 심리치료와 함께 스트레스 관리를 병행해야 하는 이유이다. 심리치료 중 효과가 좋은 치료법은 인지행동치료로 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백 교수는 “약물치료와 함께 유산소 운동, 근육의 이완 효과가 있는 복식호흡, 필라테스 등의 운동이 좋다”며 “공황 증상은 몸이 나빠진 신호가 아닌, 이렇게 살면 나중에 실제 몸이 나빠질 수 있음을 경고하는 ‘알람’ 신호로 인식하고 몸과 마음 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종오 기자([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