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우크라이나 사태] 러시아 결국 침공…삼성·SK·LG '초긴장'


사태 장기화 시 원자재 수급 타격 가능성 ↑…美 제재로 가전·휴대폰 수출 위축 우려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전자업계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반도체업계는 중·장기전으로 갈 경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생산되는 주요 재료인 네온, 팔라듐의 수급이 어려워질 수도 있는 만큼 이번 사태를 두고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내에서 특별 군사작전에 들어갔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바짝 긴장한 모습이다.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 야시누바타에서 한 우크라이나군 병사가 친러시아 무장세력과 대치한 최전방 초소에서 기관총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야시누바타=AP/뉴시스]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 야시누바타에서 한 우크라이나군 병사가 친러시아 무장세력과 대치한 최전방 초소에서 기관총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야시누바타=AP/뉴시스]

우크라이나는 네온, 아르곤, 크립톤, 크세논 등 반도체 원료인 비활성 가스의 주요 공급 국가로, 특히 세계 네온 가스의 약 70%를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이 수입한 네온 가운데 우크라이나산의 비중은 23%로 중국에 이어 2위다. 러시아산의 비중은 5.3%다.

네온은 반도체를 만드는 레이저의 핵심 소재로, 지난 2014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합병 당시 가격이 급등하기도 했다.

한국의 러시아 팔라듐 수입 비중은 3.4%에 그치지만 수급난으로 가격 인상이 우려된다. 팔라듐은 센서와 메모리반도체를 만드는 데에 사용된다.

반도체 식각공정에 활용되는 크립톤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의존도가 높다. 지난해 기준 크립톤 수입비중은 우크라이나 30.7%, 러시아 17.5%로, 양국이 총 48.2%를 차지했다.

다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들은 원자재 수급 문제에 있어 단기적 영향은 크게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군사적 긴장 고조가 계속 이어지면서 일찌감치 원자재 확보에 나섰던 데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공급망 다변화를 꾀한 덕분이다.

업계 관계자는 "관련 원자재들은 2~3개월가량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재고가 확보된 상태로, 다양한 곳에서 소재를 공급 받고 있어 당분간 타격은 없을 듯 하다"며 "우리나라를 타깃으로 한 일본 수출 규제 당시에도 생산에 차질을 빚지 않았던 것처럼 이번에도 크게 무리는 없을 듯 하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나름대로 사전 준비를 해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며 "반도체를 공급하는데 있어서도 러시아, 우크라이나에 수출되는 물량은 많지 않아 이번 사태로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마이크론 역시 당장은 피해가 없다는 입장이다. 마이크론 측은 "비활성 가스 확보 경로를 다양화했다"며 "네온 공급은 주로 유럽 연합과 미국, 아시아 전역에서 진행되고 있고, 비활성 가스 재고도 적절하게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에선 이번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원자재 수급에 어느 정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선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를 독점 공급하는 ASML에 이번 사태가 어떤 영향을 미칠 지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ASML에 타격이 있게 되면 반도체 업체들의 제품 생산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어서다.

이와 관련해 ASML 대변인은 로이터통신을 통해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공급받는 (반도체 공정 관련) 가스는 20% 이하 수준"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분쟁으로 인한 공급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있어 네온의 경우 대체 공급처를 찾고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또 일각에선 조만간 러시아가 반도체 핵심 소재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고 미국 수출 억제에 보복할 경우를 대비해 각 업체들이 공급망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달 초 미국 시장조사업체 테크세트도 "러시아가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핵심 재료를 보류함으로써 서방의 제재에 보복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높은 브랜드 인지도에 힘입어 러시아에서 모바일, 세탁기, 냉장고 등 주요 가전 분야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높은 브랜드 인지도에 힘입어 러시아에서 모바일, 세탁기, 냉장고 등 주요 가전 분야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가전업체들도 당장은 큰 피해가 없지만 이번 악재로 향후 공급망 악화, 수출 위축 등의 영향이 있을까 염려하는 눈치다. 특히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높은 브랜드 인지도에 힘입어 러시아에서 모바일, 세탁기, 냉장고 등 주요 가전 분야 1위를 차지하고 있어 초조해하는 분위기다. 두 기업은 우크라이나 현지 판매 법인에서 근무하던 주재원들과 가족들을 일찌감치 한국이나 주변국으로 대피시키기도 했다.

또 현지 생산 공장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하는 눈치다. 삼성전자는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 칼루가 지역에서 TV 공장을 운영 중으로,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자산 규모는 1조2천448억원 수준이다. 현지 판매법인(1조1천245억원)과 연구개발(R&D) 조직(455억원), 우크라이나 판매법인(2천743억원) 등을 포함하면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자산은 2조7천억원 수준이다.

LG전자는 모스크바 외곽 루자 지역 공장에서 가전과 TV를 생산하고 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은 주로 내수용이다. LG전자의 러시아 등 기타 지역 매출 비중(2020년 기준)은 2.9% 수준이다. 규모로는 1조6천634억원이다.

업계 관계자는 "우크라이나에서 제품을 판매할 수 없게 되면서 타격이 클 듯 하지만, 러시아에선 매출에 큰 영향이 있을 것 같진 않다"며 "러시아에 있는 삼성, LG 공장들도 직접 타격을 받을 가능성은 아직 없지만, 장기전이 될 경우에는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현지 진출 기업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미국의 제재 수위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 바이든 정부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해 금융제재에 나서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 곧바로 러시아 최대 은행들을 '국제 은행 간 통신망(SWIFT)'에서 퇴출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이렇게 되면 이 은행과 거래하는 은행들도 제재 대상에 포함돼 한국 기업들이 러시아에 수출하고도 수출 대금을 제 때 받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또 바이든 정부는 러시아 핵심 기간산업의 숨통을 조이기 위해 중국기업 화웨이에 적용했던 것과 유사한 수출규제도 가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앞서 화웨이는 도청 혐의 등으로 미국 기술과 디자인을 적용한 제품 수출을 막는 방식의 제재를 받아 사업에 큰 타격을 입었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30%나 급감했다.

로이터 통신은 "'화웨이 방식'을 적용하면 바이든 정부는 반도체와 컴퓨터, 가전, 통신장비, 기타 미국 기술로 만든 전 세계 제품 선적을 중단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는 "미 상무부는 휴대전화, 노트북부터 냉장고와 세탁기 같은 소비재 수출을 통제할 수 있다"며 "미국 제품뿐 아니라 미국산 반도체와 소프트웨어가 들어간 한국, 유럽 등 외국산 제품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경고에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공을 본격화하자 바이든 정부는 최근 러시아에 대한 단계적 제재에 착수했다. 러시아 최대 국책은행인 대외경제은행(VEB)과 군사은행 등 금융기관 2곳과 개인에 대한 제재를 단행하고, 러시아의 국채에 대해서도 포괄적 제재를 시행한 것이다.

무역협회는 "국제은행간통신협정(SWIFT) 결제망에서 러시아가 배제될 경우 한국 기업은 대금결제 지연·중단에 따른 손해와 우회결제로 마련을 위한 추가 비용 발생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현지 코트라 무역관은 "경제제재가 현실화되면 우리 가전, 휴대폰, 자동차와 부품 수출이 위축될 수 있고 러시아로부터 원유, 천연가스, 석탄 등을, 우크라이나로부터 크립톤, 제논 등 광물 및 곡물류 등을 공급 받는 데 영향이 있을 수 있다"며 "우리 유연탄·무연탄 수입에서 러시아산 비중이 각각 16%, 41%(2021년 기준)에 달하고, 우크라이나 수출기업들이 교전 발발 시 위험지역인 러시아, 벨라루스와 접경 지역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장유미 기자([email protected])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우크라이나 사태] 러시아 결국 침공…삼성·SK·LG '초긴장'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