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송혜리 기자] 언제쯤 제대로 된 '5세대 통신(5G) 세상'이 왔다고 확언할 수 있을까.
5G 세계 최초 상용화를 달성하고 가입자 1천만명을 돌파했으나, 안정적인 5G 서비스를 위한 커버리지·인빌딩 구축은 진행 중인 데다, 5G를 경험할 소비자 간 거래(B2C)용 킬러 플랫폼·서비스도 묘연하다.
아울러 5G 세상을 구현할 스마트팩토리·자율주행 등 5G 기업 간 거래(B2B) 서비스는 실증 단계로,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5G 단독모드(SA), 28㎓ 대역 등과 결합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게만 보인다.
◆ "결국 텃밭이 중요하다"…커버리지·인빌딩 구축 숙제
2019년 4월 '세계 최초 5G 상용화' 팡파르가 울려 퍼진 이후, 이동통신 3사는 오는 2022년까지 '5G 전국망' 구축을 목표로 올해 85개 시 주요 행정동 5G 기지국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과기정통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2020년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이통 3사 평균 5G 커버리지는 서울특별시에서 약 478.17㎢, 6대 광역시에서 약 1천417.97㎢로, 임야를 제외하면 주요 지역의 상당 부분에서 5G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85개 시 주요 다중이용시설 총 4천516개 중 5G를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2천792개 ,61.8% 수준으로, 실내에서 5G 이용이 가능한 전체 시설 수는 통신사별 ▲KT 4천571개 ▲SK텔레콤 3천814개 ▲LG유플러스 2천72개로 집계됐다.
이통 3사는 5G 커버리지 수가 목표치를 경신하고 있다는 설명이나, 5G 가입자들은 '커버리지 맵상 서비스 불가 지역이 여전히 많다'거나 '커버리지 맵상 서비스 가능 지역이나, 5G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네이버 카페 '5G 피해자 모임'을 중심으로 한 5G 가입자 약 1만명은 5G 서비스 이용 요금 환수를 요구하는 집단소송을 추진하고 있다.
5G 피해자 대표로 나선 조은영 씨(인천)는"약속했던 5G 서비스는 접속이 불가한데도 5G 통신요금은 빛의 속도로 청구가 됐다"며 "이용자는 바보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어 "5G 개통부터 덜컥해놓고, 인제 와서 '5G 품질 개선을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는 소리가 웬 말이냐"며 "집을 다 짓지도 않았는데 꼬박꼬박 월세 내고 들어와서 살라는 꼴 아닌가, 계속 짓고 있으니 위험해도 참아달라는 말인가"라며 반문했다.
시민단체도 이들과 같은 목소리를 낸다. 민생경제연구소, 소비자시민모임,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한국소비자연맹은 5G 통신 불통, 5G 전용으로만 출시되는 최신 단말, 고가요금제 등을 지적하면서 ▲'불통' 5G 가입자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고 ▲최신 단말의 LTE 가입 허용 ▲중저가 요금제 출시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5G 서비스 상용화 과정에서 과기정통부가 기지국 부족 등 문제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지만 별다른 대책 없이 상용화를 강행했고, 이후 5G 품질 논란이 불거지자 5G 기지국이 설치된 지역에서만 품질조사를 진행했다"고 지적했다.
이동통신 3사는 올해 전국 85개시 주요 행정동 내 다중이용시설 4천여곳에 5G를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음영 시설을 해소하는 것에 주력할 방침으로, 주요 읍면 중심부와 85개시 중소시설에 실내 5G를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국 지하철과 KTX·SRT 전체 역사와 20여개 고속도로 5G 제공을 목표로, ITX·새마을 등 전국 주요 역사와 45개 고속도로에 5G를 구축할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농어촌 지역에 로밍을 통해 5G 공동구축을 추진한다.
◆ 5G확산도 숙제…'킬러 서비스' 발굴 속도 내야
5G를 확산시킬 소비자 간 거래(B2C)·기업 간 거래(B2B) 킬러·융합 서비스 발굴도 당면과제다.
5G 상용화 직후 이동통신 3사는 본격적인 5G 시대를 경험하게 할 B2C 킬러서비스로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서비스를 내세웠다. AR·VR 기술을 프로야구, 아이돌 콘텐츠, 가상 커뮤니티 플랫폼 등에 접목했고, 관련 콘텐츠를 해외에 수출하는 성과를 내고 있지만 '스트리밍'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접하는 통로가 됐던 LTE와 비교해 '5G로는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동통신 3사가 5G로 본격적인 수익 창출을 기대하는 B2B 영역도 마찬가지다.
KT 경제경영연구소는 5G 상용화로 인해 유발되는 사회경제적 가치가 2030년까지 약 42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또 직접적 효과 외에도 5G 투자를 통해 약 115조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해외에선 2026년까지 5G로 인해 1조3천70달러(약 1천400조원)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고 에릭슨은 전망했다.
특히 5G B2B 사업 맏형 격인 스마트팩토리 시장 규모는 2022년까지 국내 약 13조원, 글로벌 약 2천억달러(약 220조원) 수준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5G 상용화 직후 스마트시티·스마트공장·자율주행차·드론·디지털헬스케어 등을 5G B2B 전략 산업으로 내세웠고, 이통 3사도 '탈 통신' 선언 이후 이 분야 사업을 강화하면서 보폭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실증사업을 실제 사업화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말단 속도를 높이고 지연을 단축할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확산과 5G 단독모드(SA), 28㎓ 대역 등의 접목이 뒷받침돼야 한다.
특히, 5G는 현재 3.5Ghz 대역 주파수가 상용화돼 있지만, 1ms 초저지연과 20Gbps 초고속을 구현할 수 있는 B2B 최적 주파수는 28㎓ 대역이다.
업계는 28㎓가 상용화 되면 더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5G 적용과, 이를 통한 기업의 대대적 혁신이 기대된다고 설명하나, 현재로선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도 "기본적으로 28㎓ 대역 5G 이동통신 서비스의 전국망 설치 여부는 해당 주파수를 매입한 통신사가 결정해야 할 사안이나, 전문가 지적에 따르면 아직 기술적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선 B2B 서비스나 인구 밀집 지역(핫스팟)을 중심으로 확산할 것으로 보이며, 과기정통부는 28㎓ 5G망 구축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 지원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SK텔레콤은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지역 최대 통신사 연합체인 브리지 얼라이언스와 협력해 5G MEC 허브를 구축하는 등 생태계 구축을 주도하고 있다. 아울러 이통 3사는 올해 상반기 LTE망을 사용하지 않는 SA 5G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서비스 고도화에 나설 계획이다.
/송혜리 기자([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