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표준화실손 보험료가 10~12% 가량 인상됐다.
실손보험은 지난 2009년 10월 이전에 판매된 구(舊)실손보험과 2009년 10월부터 2017년 4월까지 판매된 표준화실손보험, 2017년 4월부터 판매된 신(新)실손보험 등 3가지로 나뉜다. 오는 7월에는 4세대 실손보험이 출시된다.
◆ 표준화실손·구실손 보험료 10%대 인상…누적 인상률 반영 시 최대 50% 올라
표준화실손에 이어 구실손보험료도 오른다. 보험사들은 오는 4월 구실손보험료를 15~19% 인상할 예정이다. 최근 삼성화재는 18.9% 인상 계획을 밝혔고, 현대해상은 18% 수준으로 결정했다. 다른 보험사들도 최소 15% 올릴 방침이다.
보험사들은 실손보험 손해율이 치솟자 보험료 인상을 결정했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실손보험 위험손해율은 131.7%로 전년 동기보다 2.6%포인트 증가했다. 구실손은 142.9%, 표준화실손은 13.2%로 전체 평균보다 손해율이 더 높았다.
위험손해율은 발생손해액을 위험보험료로 나눈 수치로, 100%를 넘으면 보험료 수입보다 보험금 지출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준화실손과 구실손 보험료가 10%대로 인상되지만 실제로 보험료를 내야 하는 가입자들은 최대 50% 이상 인상 폭탄을 맞게 됐다. 매년 보험료가 갱신되는 신실손과는 달리 구실손과 표준화실손은 갱신 주기가 3~5년이어서 갱신이 돌아오게 되면 그간 누적된 인상률이 한번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표준화실손은 지난 2017년 최대 20% 이상 인상됐고, 2018년 동결된 이후 2019년과 지난해 각각 8%, 9% 올랐다. 구실손도 2017년과 2019년 각각 10% 올랐고, 지난해에는 평균 9.9% 인상됐다.
◆ 당국·업계 전환 권유하지만…신실손·4세대 실손 보험료 저렴한 대신 자기부담금 높아
과거 판매된 실손 상품의 보험료가 대폭 인상되면서 신실손이나 올해 하반기 출시되는 4세대 실손으로 전환을 고려하는 가입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구실손과 표준화실손 가입자수는 전체 가입자의 80%에 육박한다. 업계에 따르면 2020년 9월 기준 표준화실손 가입자는 1천902만명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 54.7%를 차지하고 있고, 구실손은 24.9%인 867만명이다. 신실손 656만명으로 18.9%에 해당한다.
당국과 업계는 손해율 관리를 위해 새로운 실손보험이 출시될 때마다 전환을 유도해왔다. 표준화실손이나 구실손보다 보험료가 저렴하고 향후 인상률도 적다는 점을 부각했다.
금융위는 4세대 실손 출시 계획을 밝히면서 신실손보다 약 10%, 표준화실손과 구실손에 비하면 50~70% 보험료가 저렴할 것으로 추산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40세 남자 기준 월 평균 실손보험료는 4세대 실손 1만929원, 신실손 1만2천184원이지만 표준화실손은 2만710원, 구실손은 3만6천679원이 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기존 실손 상품의 보험료가 대폭 인상된다는 이유로 무턱대고 보험을 전환해서는 안된다고 조언하고 있다.
신실손이나 4세대 실손은 보험료가 저렴한 대신에 자기부담금과 최소 공제금액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이에 본인의 건강 상태와 경제적 여건을 고려한 뒤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구실손은 자기부담금이 없고, 표준화실손의 자기부담률은 10% 수준이다. 반면 신실손의 자기부담금은 급여 10~20%, 비급여 20~30%다. 4세대 실손은 이보다 더 높은 급여 20%, 비급여 30%다.
통원 최소 공제금액도 현재 외래시 병원별 1만~2만원, 처방 조제비 8천원이지만 4세대 실손은 급여 진료 1만원(상급·종합병원 2만원), 비급여 진료 3만원이다. 또한 4세대 실손은 비급여를 특약으로 분리, 의료 이용량과 연계해 보험료 차등제를 실시한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평소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병원 방문이 잦거나 향후 건강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사람이라면 기존 실손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는 반대로 병원을 거의 가지 않고 건강관리에 자신이 있다면 새로운 실손에 가입하는 것이 보험료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료 인상이 부담스러울 경우 신실손이나 4세대 실손으로의 전환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지만 자기부담금 등이 차이가 있어 잘 따져봐야 한다"며 "본인의 향후 미래 소득과 보험료 부담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뒤 신중하게 결정하길 권한다"고 말했다.
허재영 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