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윤지혜 기자] 오는 10일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공인인증서가 사라지면서 민간인증서 경쟁이 뜨겁다. 특히 내년 초 시행되는 연말정산부터 민간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어 카카오가 관련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이버도 관련 서비스를 강화하면서 차세대 인증 주도권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카카오톡 지갑' 출시를 앞두고 최근 약관에 인증서비스 조항을 신설했다. 인증서와 전자서명 서비스를 정의하고 가입·이용 방법 및 이용자 금지 행위 등을 규정한 게 골자다. 개정 약관은 오는 15일부터 시행된다.
카카오는 카톡 지갑에 인증 서비스를 적용할 방침이다. 카톡 지갑이란 실물 지갑처럼 카톡에 신분증·자격증·증명서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서비스로, QR체크인과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이 담길 예정이다. 이는 카카오페이 인증과 별도로 운영된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톡 지갑에 모바일 신분증이나 자격증을 연동할 때 기본적으로 본인인증이 필요해 인증서비스를 넣을 예정"이라며 "연내 카톡 지갑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카오가 주목하는 건 행정안전부의 '공공분야 전자서명 확대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 최종 사업자 선정이다. 여기에 카카오가 선정되면 국세청 연말정산 때 카톡으로 본인인증이 가능해진다. 단시간 내 전국민을 이용자로 끌어모아 다른 서비스 대비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현재 카카오 외에도 이동통신3사와 한국정보인증, NHN페이코, KB국민은행 등 5개 사업자가 경합을 벌이고 있다.
카카오는 방송통신위원회의 본인확인기관 지정도 기대하고 있다. 본인확인기관이란 이용자가 홈페이지에 가입하거나,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때 본인임을 확인해주는 기관으로, 그동안 이동통신3사와 신용평가사, 신용카드사만 해당했다. 공인인증서 없이도 휴대폰·아이핀·카드인증으로 본인확인을 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그러나 공인인증서 폐지로 민간인증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되면서 카카오뿐 아니라 토스·네이버도 도전장을 냈다. 카카오·네이버가 본인확인기관으로 지정될 경우, 카톡이나 네이버 앱으로도 본인인증이 가능해진다. 포털이나 메신저에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본인인증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차세대 인증은 나야나"…네이버·카카오 각축전
사실 국내 모바일 메신저 기반 간편인증 시장을 연 건 카카오가 아니라 카카오페이다. 2017년 출시된 카카오페이 인증은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공개키기반구조(PKI)로, 블록체인 기술을 더해 보안성을 높였다. 별도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카카오톡으로 간편하게 인증하고 전자서명할 수 있다.
이에 힘입어 카카오페이 인증은 국내 최대 사설 인증 서비스로 거듭났다. 현재까지 1천400만명의 가입자 대상으로 2천만개의 인증서가 발급됐으며, 한국교통안전공단·국민연금공단·국세청·병무청 등 200개 기관에서 이용할 수 있다. ICT 규제 샌드박스 임시허가를 받아 행정·공공기관의 전자우편과 문서를 카톡으로 수신·열람할 수도 있다.
네이버도 관련 서비스를 강화하는 추세다. 올해 3월 첫 선을 보인 네이버 인증서 역시 편의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네이버 인증서로 본인확인을 한 후 전자고지서를 열람하고 네이버페이 포인트로 요금 납부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다. 웨일 브라우저에도 기본 탑재돼 모바일 뿐 아니라 웹 기반 서비스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 인증서는 현재 200만건이 발급돼 47곳에서 이용 가능하다. 연내 이용처를 57곳으로 확대하고, 발급 건수도 내년까지 10배로 성장시킨다는 방침이다. 향후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네아로)'과 함께 보안이 강화된 2중 보안 장치로도 제공할 예정이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