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연춘 기자] "협력사와의 상생 없이는 장기 생존과 번영을 이룰 수 없다. '상생경영'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고 있다."
대한민국 경제는 코로나19로 인한 충격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상생경영이 화두가 된지 오래다. 상생경영은 먹고 먹히는 먹이사슬과 승자독식에서 벗어나 노사, 협력업체, 고객, 투자자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성장하는 경영 전략이다. 국내 주요 기업들은 소비자는 물론이고 협력사, 지역사회 등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 대기업들은 올 상반기에만 국내에서 20조원이 넘는 투자계획을 발표하며 성장동력 발굴과 동시에 일자리 창출에 나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코스피 상장 623개사의 별도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에서 상장사들의 올 1분기 투자현금지출은 25조8천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4.1% 늘어났다. 코로나19로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도 오히려 투자금액을 늘린 것이다.
12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그룹, SK그룹, LG그룹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조 단위의 동반성장 펀드를 운영하는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더믹(전 세계적 유행) 속에서도 문재인 정부의 미래 동반성장과 상생협력 정책과 보조를 맞추면서, 동시에 성장일변도에서 지속가능경영으로 먼 미래를 보겠다는 주요 재계 총수들의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재계 관계자는 "과거 단순히 협력사의 금전적 지원에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실질적인 동반성장을 위한 다양한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했다. 협력사의 경쟁력 강화가 곧 제품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지속가능한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경영진의 의지가 있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이다.
재계 1위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은 지난해 창립 50주년 영상 메시지를 통해 "같이 나누고 함께 성장하는 것이 세계 최고를 향한 길"이라고 했다. 실제 삼성전자 측은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사업 생태계 구축에 있어 협력회사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며 협력사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현대차, SK, LG그룹 역시 어려운 중소 부품사를 지원하기 위해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현대차는 분야별 최고 전문가 300여명으로 구성된 '협력사 R&D 기술지원단'을 출범해 소규모 부품사가 단독으로 하기 어려운 다양한 시험이나 평가를 돕는 활동도 하고 있다. SK의 경우 각 계열사 별로 다양한 동반성장 노력을 하고 있다. LG는 협력회사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협력사의 공장 자동화와 경영인프라 구축, 국내외 판로 확대 등도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재계는 상생경영과 함께 문 대통령의 고용 유지·창출 주문에도 화답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는 상황에서도 올 상반기 미뤄졌던 공채를 재개했다.
앞서 2018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3년간 총 180조원을 투자하고 4만여명을 직접 채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이 부회장은 지난 2월 문재인 대통령과 대한상의에서 만나 "기업의 본분은 고용창출과 혁신, 투자인데 제일 중요한 것은 고용 창출이다"면서 "2년 전의 약속을 꼭 지키겠다"고 말했다.
현대차도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채용에 화상면접을 도입하면서 재개했다. 현대차는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 시장에서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우수한 인재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어 관련 분야의 채용을 더욱 늘릴 방침이다. SK와 LG도 예년 수준의 고용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30대 그룹 중 고용 증가에 선봉장 역할을 하는 곳은 삼성이다. 지난해 기준 25만여명을 고용하며 30대 그룹 중 가장 높은 고용 영향력을 보였다. 30대 그룹 내 고용 포지션은 18.5% 수준에 달했다. 뒤를 이어 현대차 16만2천명(12%), LG 15만1천명(11.3%), SK 10만4명(7.7%), 롯데 10만1명(7.5%)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인력을 대규모로 감축했거나 계획한 대기업들이 있는데다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인력 감축이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재계 총수들은 기업의 본분은 고용창출과 혁신, 투자라고 강조한다.
다만 한국은 법인세와 소득세를 인상하고, 최저임금 인상 및 주 52시간제 등 친노동 정책과 공공부문 일자리 만들기 정책에 성장통을 겪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감세, 규제완화, 노동개혁 등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데 주력한 미국과 프랑스는 세계성장 둔화에도 우수한 경제성과를 거뒀다”며 “우리나라도 기업활동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경제정책을 전환해 민간활력을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연춘 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