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서민지 기자]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내연기관에서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차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친환경차 확산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원가 절감과 인프라 확충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세미나허브 주최로 2020년 미래차 기술 및 전략 세미나가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5~6일 양일간 진행되는 것으로 이날은 친환경차가 중점으로 다뤄졌다.
정부는 친환경차 확산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지난 10월 2030년 전기차·수소차 신차 판매 비중을 세계 1위 수준인 33%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전기차와 수소차 확산을 위한 주요 과제로는 기술 개발을 통한 '원가 절감'이 꼽힌다. 높은 가격 때문에 진입 장벽이 높고, 정부의 보조금에 의존하고 있어 원가를 낮추는 작업이 필요한 상태다.
이상택 전자부품연구원 자동차전장연구센터장은 "현재 전기차 시장이 우호적인 편이지만, 보조금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보조금이 없어도 전기차가 활성화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하며, 이에 맞춰 사업화와 부품 방향도 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저가격과 함께 경량화, 고밀도 등을 전기차와 수소차의 전장부품 중점기술로 꼽았다. 이를 위해 전력변환 기술, 수동소자 고밀도화 기술, 방열 및 모듈화 기술, 소재 및 반도체 기술, 고신뢰성 기술 등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김진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소유비용 차이를 감안하면 전기차 가격이 반드시 내연기관 수준으로 안 떨어져도 되지만 내연기관 가격과의 격차 해소가 관건"이라며 "배터리 외 다른 부품 가격, 간접비용 감소로 전기차 원가를 절감하고, 전기차 판매가 늘어나면 규모의 경제 효과로 부품 가격이 하락해 내연기관과 가격 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수요를 늘리기 위해서는 '인프라 확충'이 우선돼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 정부의 보조금으로 가격 부담을 낮춘다 할지라도 인프라가 충분히 마련되지 않을 경우 소비로 이어지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수소차의 경우 전기차에 비해 충전소 구축이 어렵고, 운송 방식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운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압력을 높이거나 액화 과정을 거쳐 최대한 많이 싣고 운송비를 줄여야 한다. 하지만 압력을 높이거나 액화시키는 데도 비용이 들어 소비자에게 최대한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권낙현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실장은 "전기차 충전소는 이미 모든 기술을 갖추고 있고, 인프라가 있어 수소차에 비해 비교적 쉽게 구축할 수 있다"며 "수소충전소의 경우 건설 비용이 많이 들고, 압축·액화하는 기술 등이 필요한데, 충전소가 보급돼야 수소차의 빠른 확산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수소 충전비는 kg당 8천 원대로 내연기관보다 20~30%가량 비용이 절감되지만, 차량 가격을 감안하면 큰 이점이 없다"며 "정부가 2022년 6천 원, 2040년 3천 원까지 떨어뜨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가격이 떨어지면 경쟁력도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수소차가 자리 잡는 데까지는 정부의 지원도 필수적이라고 봤다. 김진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수소충전소는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상당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초기 자생적으로 운영하기 불가능하다"며 "정부 지원과 민간 참여를 통해 인프라를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확산단계 이후에는 규모의 경제 확보가 관건으로 수소와 연료 전지의 가격 하락을 통한 자생적인 시장 조성이 핵심"이라며 "다양한 수소 생산기술이 발달하고 규모의 경제가 갖춰지면 수소 가격이 빠르게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민지 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