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DMZ 야생멧돼지 전면 살처분 필요"...아프리카 돼지열병 비상


폐사율 100%, 10개월 만에 중국 전역 확산, 유입차단 총력

[아이뉴스24 최상국 기자] "비무장지대(DMZ) 부근의 야생멧돼지를 전면 살처분하고 양돈농가의 잔반사료 이용을 법적으로 금지해야 한다." (김유용 서울대 식품동물생명공학부 교수)

"해외여행객들은 축산물을 절대 국내에 들여오면 안된다. 돼지열병은 양돈농가만의 문제가 아니다. 국민들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선우선영 케어사이드 이사)

폐사율 100%의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이 중국 전역으로 퍼지면서 국내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4월 9일 10개 부처가 공동으로 대국민담화를 발표한 데 이어 3일에는 대통령까지 나서 ASF 차단을 위한 노력을 요청했다.

하지만 아직도 전국 200여개 농가에서 잔반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해외여행객들이 들여온 축산물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일도 이어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기자협회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국민생활과학자문단(단장 정진호 서울대 약학과 교수, 이하 자문단)은 9일 오후 2시 한국과학기술회관 소회의실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폐사율 100%,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를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 참석자들은 우리나라가 아프리카 돼지열병 청정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역당국과 축산농가는 물론 국민 모두가 동물 전염병 유입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일상에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9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아프리카 돼지열병 대비'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아이뉴스24]
9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아프리카 돼지열병 대비'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아이뉴스24]

김유용 교수는 "해외에서의 ASF 발병원인은 38%가 야생멧돼지, 35%가 잔반사료인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덴마크가 독일과의 국경 전체에 울타리를 치고 올해 말까지 모든 야생멧돼지를 살처분하기로 결정한 것처럼 우리나라도 DMZ 부근의 야생멧돼지를 살처분하고 양돈농장의 잔반사료 이용금지도 시급히 법제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현섭 한국양돈수의사회 회장은 "지나친 공포감 조성은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지만 대통령이 언급할 정도로 중요한 이슈인 것은 사실"이라면서 "1차 예방은 바이러스가 국내에 들어오지 않게 막는 일인데 공항검역이 샘플링 조사에 의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국민들 스스로가 축산물이나 관련 식품들은 반입을 하지 않는 실천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이 아프리카 돼지열병에 대해 심각한 주의를 촉구하고 있는 것은 이 바이러스의 폐사율이 거의 100%에 달하지만 아직 백신이 없어서 한 번 전염되기 시작하면 대책이 없기 때문이다.

유한상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에 따르면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24종의 유전형이 확인됐으나 백신이 없는 제1종 가축전염병이다. 물렁진드기를 매개체로 전염되며 65도 이상의 고온에 약하지만 냉동육 상태에서는 1천일, 살코기 상태에서 105일을 버틴다. 감염되면 고열과 출혈 증상을 나타내고 3일에서 1주일 내에 폐사한다. 다행히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 비상이 걸린 것은 지난해 8월 중국에서 발생한 뒤 10개월만에 중국 전역으로 퍼질 만큼 빠르게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 돼지열병은 2007년 동유럽의 조지아에서 출발해 매년 약 50km씩 서쪽으로 확산돼 왔었다. 현재까지 중국을 비롯해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 등 아시아 4개국과 아프리카 29개국, 유럽 13개국에서 발생했는데 서유럽에서는 벨기에가 직격탄을 맞았다.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 국가 [OIE(세계동물보건기구)]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 국가 [OIE(세계동물보건기구)]

유한상 교수는 "중국, 베트남 등 발병국가를 다녀오는 국내 여행객이 많아 어떤 일이 발생할 지 모르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라고 주의를 촉구했다.

지난해 8월 이후 아프리카 돼지열병과 전쟁을 치르고 있는 중국은 지금까지 1백만두를 살처분했다고 국제기구에 보고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수치가 매우 축소된 것으로 최대 1억마리까지 살처분이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유용 교수는 "국내에서 발생시 정확한 피해규모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2010년 구제역 발생시 전체 사육두수의 30%인 336만 마리를 살처분했었다. 지금은 살처분 매립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살처분을 한다고 해도 처리가 쉽지 않다. 또한 중국이 가장 심각한 상황이어서 돼지고기 수입도 힘들어질 수 있다. 최악의 경우에는 국민들이 3년에서 5년 동안 돼지 품귀현상을 겪어야 할 것"이라 경고했다.

최상국 기자 [email protected]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DMZ 야생멧돼지 전면 살처분 필요"...아프리카 돼지열병 비상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