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유재형 기자] 미 연방준비제도는 26일(현지시간) 종료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올해 들어 세 번째 연방기금금리 인상(1.75~2.0%→2.0~2.25%) 함에 따라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은은 금번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이 시장에서 예견됐고 향후 정책금리 예상 경로도 종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아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봤지만 금융통화위원회의 인식은 한층 더 매파적 성향으로 치닫을 것으로 보인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폭이 0.75%포인트로 확대된 것은 2007년 7월 이후 11년 2개월 만이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폭은 2000년 5~10월 1.50%포인트로 최대를 기록한 바 있다. 이번 9월 FOMC에서 금리인상은 예상했던 만큼 시장의 관심은 통화정책 문구 변화나 금리 인상 속도에 맞춰졌다.
미 연준은 성장률 전망치를 2018년 2.8%에서 3.1%로, 2019년 2.4%에서 2.5%로 상향 조정했다. 또 통화정책 기조가 완화적이고 강한 고용시장 상황과 지속적인 물가 상승률 2% 도달을 지지할것이라는 문구가 삭제했다. 이와 관련 파월 의장은 완화적이라는 문구 삭제가 정책변화 신호가 아니라고 밝히면서 미 연준의 긴축 기조가 상당기간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미 연준 점도표상 금리인상 전망 횟수는 올해 네 차례, 내년도 세 차례를 유지해 12월 추가 금리인상을 시사했다.
시장은 이에 따른 국내 투자자본 유출 우려가 확산됨에 따라 10월 금리인상을 점쳤다. 지난 18일 공개된 8월 한은 금통의 의사록에서도 매파성향이 강화돼 이를 방증했다. 8월 금통위에서 3명의 매파 성향 금통위원들은 과도한 금융불균형 억제와 정책 여력 확보 차원에서 완화 정도의 축소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2명의 금통위원은 매파 성향에 가까운 '중립' 입장을 보였으며, 완화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명확한 비둘기 성향은 1명에 불과했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대내외 여건이나 물가에 대한 확인 과정이 필요하지만 10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성장률과 물가 전망 경로가 크게 훼손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한은이 금리인상 시점을 11월로 미룰 명분은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미 연준의 점진적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한미 금리 역전 확대와 가계대출 증가 및 주택가격 상승 등 한은의 금융안정 필요성은 더욱 높아졌다는 판단이다. 주요국 무역분쟁, 신흥국 금융불안 등 대외 리스크도 미 연준을 이번 금리인상으로 인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27일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통해 "한·미 정책금리 역전폭이 확대된 가운데 앞으로도 미 연준의 금리인상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조금 더 경계감을 갖고 외국인의 국내증권투자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유재형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