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도민선 기자] 5세대통신(5G) 주파수 경매 초안이 나온 가운데 글로벌 대역인 3.5㎓ 주파수대역의 향방이 초미 관심사가 되고 있다.
정부가 균등 배분이 아닌 경매 할당방식으로 추진하면서 이동통신 3사별 확보할 수 있는 주파수에 차이가 있을 전망이다. 따만 쏠림 등 우려를 의식, 한 사업자가 확보하는 주파수 총량을 제한할 방침이어서 결과에 따라 이통 3사 희비가 갈릴 전망이다.
확보 대역에 따라 서비스 품질, 이에 따른 투자비용, 마케팅 등 전략에도 변화가 불가피한 때문.
우선 3.5㎓에서는 기존 LTE에서처럼 더 넓은 주파수대역폭을 확보한 사업자가 최고속도를 마케팅포인트로 내세울 전망이고, 28㎓에서는 최고속도 보다는 콘텐츠 싸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총량 제한으로 누가 울고 웃게 될 지 주목된다. 이번 경매의 최대 복병인 셈이다.
19일 과기정통부가 공개한 5G 주파수 경매 계획안에 따르면 오는 6월 5G 주파수경매에는 ▲균등배분 불가 ▲승자독식 불가 ▲통신시장 경쟁상황 악화 가능성 고려 ▲5G 서비스를 위한 최소 대역폭 고려 등 경매원칙이 적용된다.
3.5㎓ 대역에서 한 사업자가 가져갈 수 있는 주파수대역폭 총량에 제한을 두겠다는 게 핵심. 3.5㎓는 전국망 커버리지를 확보하기 위한 용도로 쓰일 예정이어서 내년 3월 5G 상용화에 맞춰 업계 최대 관심사다.
현재로선 3.5㎓ 대역의 총량제한 수준은 100~120㎒로 선이 될 전망이다. 총량제한이 100㎒일때는 전체대역폭의 37%, 120㎒일때는 43% 수준이 된다. 총 대역폭이 2천400㎒인 28㎓ 대역에서도 같은 비율로 총량제한이 걸린다.
과기정통부는 총량제한 외에 최저할당량 기준을 세우지 않았지만, 5G 표준상 주파수이용효율이 LTE의 3배인 점을 들어 SK텔레콤은 50㎒, KT와 LG유플러스의 경우 각각 34㎒만 있으면 현재의 LTE 서비스 최고 다운로드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감안할 때 각 사업자가 3.5㎓에서 만약 100㎒를 얻는다면 2~2.7G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각자 확보한 대역폭에 따라 속도가 수백 Mbps까지 차이가 나는 셈이다. 당장 기존 LTE에서 진행해온 최고 속도차이를 이용한 마케팅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스마트폰에서 사업자별 이론상 LTE 최고 다운로드 속도는 ▲SK텔레콤 1Gbps ▲LG유플러스 900Mbps ▲KT 700Mbps다.
◆총량 제한, 이통 3사 희비 갈리나
총량제한에 따라 이통 3사 입장도 엇갈리고 있다.
SK텔레콤은 더 많은 5G 가입자를 수용을 위해 더 넓은 주파수대역폭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반면 균등분배를 원했던 KT와 LG유플러스는 타사에 비해 좁은 주파수대역을 얻으면 통신품질의 열위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해왔다.
총량 제한을 어느정도 둘 지에 따라 3사 희비가 엇갈릴 수 있다는 얘기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현재 통신사별 LTE 주파수 보유량은 ▲SK텔레콤 135㎒ ▲KT 105㎒ ▲LG유플러스 100㎒이고, 가입자당 LTE 주파수는 ▲SK텔레콤 5.9㎐ ▲KT 6.9㎐ ▲LG유플러스 8.4㎐다.
또 지난 2011년 경매 때는 총량제한을 20MHz로 설정한 바 있다. 총 매물의 40% 수준이다. 2013년에는 40MHz(플랜1 35%, 플랜2 31%) 대역폭을, 2016년에는 60MHz 대역폭(43%)을 제한했다.
다만 정부는 주파수 확보에 따라 품질이나 서비스 등에 큰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에는 선을 그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그간 진행된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등을 미뤄볼 때, 가입자당 주파수대역폭 보유량이 품질을 정하는 결정적인 기준은 아니다"라며, "가입자 전환을 이유로 더 넓은 주파수대역폭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기술적 관점과 마케팅적 관점이 혼재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외 28㎓ 주파수대역의 경우 역시 사업자간 입찰 경쟁이 3.5㎓에 비해서는 제한적인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 28㎓를 이용한 5G서비스 상용화가 가시적 수준은 아니기 때문. 이 때문에 28㎓ 대역을 둘러싼 3사간 전략 차이가 크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통 3사가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연구·개발중인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등이 어떻게 활용할 지가 관건인 셈이다.
도민선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