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영웅기자] 올해 국내 조선과 철강업계는 표면적으로 동반흑자를 기록하며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 조선 3사는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하고 수주목표도 달성했지만, 지난해 수주절벽의 여파가 점차 본격화하고 있다. 철강업계도 글로벌 설비과잉과 무역장벽 등으로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수주절벽 본격화에 얼어붙는 조선업계
26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대형 조선3사는 올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세 분기 연속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1~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현대중공업이 4천87억원, 대우조선해양이 1조945억원, 삼성중공업이 965억원이었다.
아울러 올해 수주실적도 지난해 대비 4배 가까운 성적을 거두며 선전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127척, 79억달러를 기록하며 목표치 75억 달러를 초과 달성했다. 12월 현재 삼성중공업은 27척과 67억 달러, 대우조선해양은 25척과 29억4천만 달러로 목표치를 넘어섰다.
하지만 조선업은 수주 계약이 매출로 이어지는데 2∼3년이 걸린다. 이 때문에 지난해 수주가뭄의 여파가 올해 4분기부터 본격화하면서 매출 감소로 이어지며 '보릿고개'로 돌입하고 있다. 조선 3사는 인력감축과 일부 독 폐쇄, 자산 매각 등으로 몸집 줄이기에 사활을 걸었다.
대표적으로 삼성중공업은 올해 4분기 5천600억원의 영업적자로 올 한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게 됐다고 공시했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역시 내년부터 본격적인 수주절벽이 이어져 매출절벽에 내몰릴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철강업계의 후판 가격 인상 움직임도 골칫거리다. 후판은 두께 6mm 이상의 철판으로 선박 제조원가에서 10~20%를 차지한다. 매출절벽으로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원자재값 상승 움직임까지 걱정해야 할 판이다.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18년 경제·산업 전망'에서 수주절벽 현실화 등의 이유로 수출증가율을 전년 동기 대비 -39.8%, 생산증가율은 -31.8%로 각각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영업이익과 수주 달성은 기저효과의 영향이 크다"며 "내년에는 대형, 중견할 것 없이 생존을 위협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철강업계, 무역장벽·전기세 인상 리스크
국내 철강산업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전반적인 회복세를 유지했다. 포스코는 올해 1~3분기 3조 4천698억원의 누적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현대제철도 1조 402억원, 동국제강은 1천845억원의 흑자를 각각 기록하는 등 일제히 호실적을 보였다.
자동차와 조선 등 대형 수요산업의 부진에도 건설경기가 호조를 보이며 철근 등 실적 개선이 이뤄졌다. 아울러 원자재 가격 상승과 중국의 감산 정책으로 공급과잉 문제가 다소 해소됐다. 중국 업체들이 내년 1월 철강 가격 인상을 통보하면서 국산 철강재 가격도 상승기류를 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내 건설 경기 둔화 전망과 각국의 수입 규제, 정부의 전기세 인상 방침 등은 철강업계에 대형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산업연구원은 제조부문 철강수요 정체와 건설투자 위축에 따른 건설용 수요 둔화효과로 철강재 생산이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국내 철강업계에 대한 규제가 연일 커지고 있어 업계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한국산 철강 선재에 대한 예비 반덤핑관세를 4배 높인지 한달만에 또다시 스탠더드 강관에 약 40%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하는 등 '관세폭탄'을 쏟아내고 있다.
철강업계에 대한 무역제재는 캐나다로도 확산됐다. 캐나다 국경관리청은 지난 5일 한국산 탄소·합금강관에 반덤핑 관세율 최고 88.1%를 부과하기로 최종 확정했다. 높아진 관세는 내년 1월 4일부터 향후 5년간 적용될 예정이다.
정부의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계획도 생산 단계에서 전기사용이 많은 철강업계엔 잠재적 리스크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철강 공급 과잉 문제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 전기요금 인상, 미국과 캐나다의 무역제재 등 변수가 많아 내년 업황 회복이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이영웅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