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채송무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 관련 대화 주장을 다시 꺼내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취임 이후 일관되게 북한에 대한 제재와 더불어 대화 의사를 밝혔다. 6.15선언 17주년 기념식에서는 북한이 핵과 미사일 도발을 중단하면 대화를 할 수 있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심지어 "북한 핵의 완전한 폐기와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 그리고 북미관계의 정상화까지 포괄적으로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미국 언론들과의 인터뷰에서는 미국과의 공조를 강조했지만, 올해 안에 북한 김정은 노동당위원장을 만나기를 원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미국 CBS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김정은과의 대화를 금년 중으로 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대화가 필요하다고 해서 대화에 대해 조급해 할 필요는 없다"면서 "북한에 대해서 다양하고 강도 높은 압박과 제재를 통해서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내는 것이 금년 중에는 이루어졌으면 하고 희망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미 간 대북 정책에 이견이 나올 수 있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전제 조건 없는 대화를 한번도 언급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먼저 북한이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 동결을 해야 한다고 믿는다"며 "그리고 두 번째 단계로 북한의 핵 계획을 완전히 해체하려 한다. 나는 미국 내에서도 이같은 단계별 접근법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있다고 본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현지 시각 20일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도 사드 배치와 관련해 "내가 말한 것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문제 해결을 최우선 순위에 올려놓고 최대 압박과 관여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황이 옳다면 관여 전략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는 최근 북한이 송환한 오토 웜비어 씨가 6일 만에 사망하면서 미국 내 여론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져 주목된다. 분노한 미국 내 여론이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을 강경하게 이끌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한미 대북 정책의 엇박자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 대통령의 취임 후 첫 한미 정상회담으로 무엇보다 한미 정상 간의 신뢰 확인과 굳건한 한미동맹 재확인이 필요한 정상회담에서 이같은 엇박자가 드러나면 문재인 정부로서는 상당한 상처가 불가피하다.
트럼프 대통령도 취임 초 북한에 대해 압박하되 대화의 문을 닫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인 바 있지만, 웜비어 문제로 격화된 국내 여론을 고려할 필요는 있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언급한 북한과의 대화가 어떻게 작용될지 주목된다.
채송무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