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역대 대선 판 흔든 '연대', 이번에는?


준비 기간 짧아지고 방정식은 복잡…'제3지대론' 변수

[아이뉴스24 윤채나기자] 설 연휴 밥상머리 화두는 단연 대선이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 일정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면서 정치권 안팎의 관심은 총체적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호(號) 차기 선장에 어떤 인물이 적임자인지에 쏠리고 있다.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은 오는 3월 13일까지 박 대통령 탄핵 심판의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탄핵이 인용되는 것을 전제로 4월 말 또는 5월 초 이른바 '벚꽃 대선'이 치러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대선 준비 기간이 짧아진 반면 대선 방정식은 전례 없이 복잡해지는 양상이다. 대선 구도가 양자대결이 될지, 3자 또는 4자 대결이 될지조차 장담할 수 없는 안갯속 정국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불거진 제3지대 연대 움직임은 대선 방정식을 복잡하게 만드는 핵심 요소다.

◆성공한 연대 DJP, 실패도 많아

연대는 역대 대선 판세를 좌우했던 변수다. 대표적인 사례가 1997년 대선 당시의 DJP 연합이다. 당시 범민주진영 김대중(DJ) 후보와 충청권 맹주 보수 후보 김종필(JP) 전 총리가 전략적으로 연대해 대선을 승리로 이끌었다.

2002년 대선 당시에는 노무현·정몽준 후보 간 연합이 판을 흔들었다. 투표일을 25일 앞두고 정 후보가 노 후보 지지 의사를 밝히며 불출마를 선언, '이회창 대세론'을 뒤집었다. 정 후보가 투표일 당일 노 후보 지지를 철회하면서 판이 또 한 번 출렁였지만 노 후보 지지층이 결집하면서 참여정부 출범으로 귀결됐다.

그로부터 10년 후인 2012년 대선에서는 박근혜 당시 후보의 우세 속 문재인·안철수 후보 간 단일화가 이뤄졌다. 다만 두 사람의 단일화는 미완에 그친 것으로 평가된다. 단일화 협상이 결렬될 위기에 처하자 안 후보가 야권 단일후보 자리를 문 후보에게 양보했지만 지지층 분열이 심각했고 후유증도 컸다. 결국 문 후보는 낙선의 쓴 잔을 마셔야 했다.

이번 대선을 앞두고도 연대론이 한창이다. 여권과 야권이 모두 분열되면서 짝짓기를 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늘어난 데다 군소 세력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절대 강자를 뛰어넘기 위해 2, 3위 후보 간 단일화가 이뤄졌다면, 이번에는 절대 강자가 없는 상황에서 연대 논의가 나오고 있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30% 안팎을 기록, 절대강자라고는 볼 수 없다.

◆보수·진보 아우르는 '제3지대론' 현실화할까

현재까지 연대 논의는 여권에서 더 활발하다. 유력 주자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기존 정당에 입당하지 않고 제3지대에서 독자 세력화를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 전 총장을 중심으로 한 제3지대 연대 논의에 힘이 실릴 것이란 이야기다.

이미 정치권에서는 반 전 총장을 중심으로 보수 진영, 국민의당, 민주당 비주류 등이 모이는 '빅텐트론'이 대두된 상태다. 실제 반 전 총장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정의화 전 국회의장,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 등과 잇달아 회동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밖에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등도 제3지대를 중심으로 한 정계개편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인물로 꼽힌다.

그러나 연대가 현실화되기까지는 난항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념적으로 보수와 중도, 진보 진영을 아우르는데다 다수의 대선주자가 참여하는 다자 논의 구도여서 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조기 대선의 경우 협상 기간도 넉넉지 않다.

벌써 국민의당은 반 전 총장과 선을 긋고 당내 유력 주자인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를 중심으로 한 별도의 '빅텐트' 설계에 착수한 상태다. 아직까지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손학규 의장 등의 행보가 주목되는 이유다.

윤채나기자 [email protected]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역대 대선 판 흔든 '연대', 이번에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