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뉴스24 김주훈 기자] 야5당 대표가 19일 내란 극복 이후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원탁회의'를 결성했다.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범야권 연대'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비롯해 김선민 조국혁신당·김재연 진보당·용혜인 기본소득당·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내란종식 민주헌정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원탁회의) 출범식에 참석해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이들은 공동선언문에서 '내란 종식'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했다. 이와 함께 '반헌법행위 특별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책임 추궁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야5당은 내란수괴인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모든 힘을 집중할 것"이라며 "내란·명태균 특검 등을 통해 12·3 내란사태의 진상을 낱낱이 밝히고, 극우내란세력이 다시는 집권을 꿈꾸지 못하도록 막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극우내란세력은 서울서부지방법원 폭동을 일으킨 데 이어 지금은 헌법재판소 공격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고, 부정선거 음모론과 가짜뉴스를 퍼뜨리고 있다"며 "야5당은 '반헌법행위 특별조사위원회'를 만들어 극우내란 세력의 잔뿌리까지 찾아 죄를 묻겠다"고 했다.
이들은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정치·사회·권력기관 개혁에 대한 '공동 실천'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분야별 분과를 구성해 개혁 과제를 설정할 계획이다.
이들은 "현재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위기 극복뿐 아니라 날로 커지는 기후위기, 경제‧안보 위기, 사회통합과 안정을 해치는 불평등 위기 등 다중의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며 "야5당은 이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열어 광장에서 분출된 시민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는 데에 뜻을 같이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치·사회·권력기관 개혁 등 분야별 분과를 구성해 구체적인 개혁과제들을 도출하고, 이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 국민에게 보고드리겠다"며 "내란 세력이 내팽개친 민생경제를 살리기 위해 공동 실천에 나서겠다"고 했다.

야5당 대표는 "헌정 질서를 수호하기 위해 함께 나서야 한다"며 '야권 연대'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 대표는 "국민의힘을 포함한 일부 정치 세력들이 헌정 파괴 행위에 동조하고 있다"며 "헌정질서 파괴를 획책하는 일부 소수 세력과 싸워 헌정 질서를 다시 회복하고 우리 국민이 희망을 가지는 정상적인 나라로 빨리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원탁회의에 불참한 개혁신당을 두고선 "함께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고, 원탁회의는 여전히 열려있다"며 "개혁신당을 포함해 시민사회 등 헌정질서 파괴에 찬성하지 않는 모든 세력이 함께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김재연 상임대표도 "내란 세력이 거짓·혐오·폭력으로 헌정 질서를 짓밟을 때, 민주 시민들은 연대와 협력이 만든 용기로 국회와 광장을 지켜냈다"며 "세대·성별·소속·정견의 차이를 뛰어넘어 더 크고 강한 '연대 연합'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거들었다. 아울러 "민주주의 헌정질서 수호에 동의하는 모든 이들과 더 넓게 손잡고 싸워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용 대표는 "12·3 내란의 종식은 손쉽게 끝날 일이 아니다"라면서 "여기 모인 야당뿐만 아니라 민주 헌정을 지키겠다는 최소한의 합의에 동의하는 '보수 세력'까지 힘을 모아 이번 국회가 끝나는 그 순간까지 전력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22대 국회는 윤석열의 친위 쿠데타를 멈춰 세웠을 뿐만 아니라 내란의 진정한 종식을 위해 철저한 민주주의 개혁을 이뤄냈다'는 문장이 대한민국 역사에 영원히 남기는 것에 한 줌의 부끄러움도 없도록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고 했다.
한 대표 역시 "각 당 입장보단, 더 자유롭고 평등하고 평화로운 민주공화국을 만들기 위해 대한민국 국민의 열망을 모든 판단의 기준으로 삼을 것"이라며 "민주와 혁신의 바다에 진보의 배를 띄우고 평화가 기본이 되는 사회를 향해 단단하게 그리고 신뢰·연대로 앞장설 것"이라고 했다.

김선민 당대표 권한대행은 "내란 세력과 헌법 부정 세력의 망상과 준동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야권이 힘을 모았다"며 "원탁회의를 통해 야권은 탄탄하고 단단하게 연대하고 협력하겠다"고 했다.
다만 김 권한대행은 '내란 종식'을 위해선 세 가지 정책이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혁신당이 지속적으로 민주당에 요구한 검찰 개혁과 원내교섭단체 구성 요건 완화 등이 담겼다. 그는 "검찰 독재를 뿌리 뽑지 않으면 내란 세력은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혁신당이 발의한 '검찰개혁 4법'이 조속하게 통과돼야 한다"며 "새로운 대한민국의 시대정신은 '다양성'인 만큼, 다당제 정착을 위해 교섭단체 정상화, 선거제도 개혁, 대통령선거 결선투표제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했다.
김보협 수석대변인은 김 권한대행의 제안이 원탁회의 유지 조건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김 수석대변인은 원탁회의 출범식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교섭단체 완화나 결선투표제 등은 혁신당이 원탁회의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나 조건이 아니다"라면서 "각 정당 대표가 강조한 부분이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 정당은 정치적 이상을 같이하고 실현하기 위해 모인 곳이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원탁회의가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범야권 연대'라는 지적에 대해선 "선언문에는 대선 관련 내용이 없다"며 "향후 실무회의에서 논의하면 합의 수준을 높여나갈 수 있겠지만, 현재는 대선 준비나 야권 단일 후보, 경선 규칙 등은 전혀 언급이 없었다"고 일축했다.
/김주훈 기자([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