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SK케미칼, 울산에 폐플라스틱 리사이클 이노베이션 센터 구축


해중합 파일럿 설비, 2026년 가동 목표⋯연간 50만톤 생산규모 
"순환 재활용이라는 플라스틱 생태계 혁신을 가속화하는 기점"

[아이뉴스24 최란 기자] SK케미칼은 울산공장 부지 내에 리사이클 이노베이션 센터(RIC)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SK케미칼 울산공장 전경사진. [사진=SK케미칼]
SK케미칼 울산공장 전경사진. [사진=SK케미칼]

RIC는 기존 코폴리에스터 상업생산 설비와 폐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분해해 재활용 원료(r-BHET)를 생산하는 파일럿 설비를 연결하는 것이다.

SK케미칼이 국내에 해중합 기술 기반의 리사이클 복합 시설을 갖추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해중합 파일럿 설비에서는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r-BHET)를 생산하게 된다. 2026년 가동을 목표로 연간 50톤 생산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SK케미칼은 파일럿 설비를 통해 섬유, 필름,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형태의 저품질 폐플라스틱의 상업화 기술을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IC건설로 SK케미칼은 울산공장 한 곳에 순환 재활용 원료(r-BHET)부터 순환 재활용 소재까지 이어지는 논스톱 연구·생산 체계를 갖추게 됐다. 

해중합 파일럿 설비와 함께 △순환 재활용 페트를 제조하는 중합 파일럿 △순환 재활용 코폴리에스터를 양산할 수 있는 상업생산 설비를 기반으로 해중합, 실증 연구, 중합, 양산까지의 전 공정이 한 곳에서 유기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RIC가 완공되면 SK케미칼이 추진하고 있는 클로즈드 루프 구축도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클로즈드 루프는 매립, 소각돼 왔던 폐플라스틱이 수거·분쇄·세척·해중합·중합 등의 과정을 거쳐 석유 기반 플라스틱과 동일한 형태로 다시 생산되고 이를 원료로 다시 가전, 식음료 용기 등의 제품화로 이어지는 완결적 순환 체계를 말한다.

SK케미칼은 RIC를 기반으로 음료, 화장품, 가전, 자동차 등 산업군과 협력을 강화해 폐플라스틱 자원순환 인프라와 안정적인 폐자원 공급망을 확보하고 각 산업에 최적화된 해중합 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해 대규모 양산 시설 구축을 위한 기반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안재현 SK케미칼 사장은 "재활용 원료부터 리사이클 플라스틱까지 이어지는 일원화된 연구·생산 체계 구축은 순환 재활용이라는 플라스틱 생태계의 혁신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기점이 될 것"이라며 "식·음료, 자동차, 전기전자, 패션 등 각 산업군 기업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각 산업군의 완결적 자원 순환 체계를 그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란 기자([email protected])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SK케미칼, 울산에 폐플라스틱 리사이클 이노베이션 센터 구축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