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전다윗 기자] 풀무원은 새만금개발청,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한국농어촌공사, 전북지역어업인 단체, 공주대, 포항공대 등 11곳과 '새만금 글로벌 김 육상 양식 사업 성공을 위한 민·관·학 상생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육상 김 사업을 위한 부지를 추가 조성하며 육상 김 사업 확대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전날 전북 군산시 소재 새만금개발청에서 열린 상생업무협약식에는 김경안 새만금개발청 청장,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 김영민 군산시 부시장, 안재호 한국농어촌공사 단장, 김광철 군산시수산업협동조합 조합장, 심명수 군산시어촌계협의회 회장, 김영현 한국 김생산어민연합회 군산지회 회장, 이완농 전북자치도 김생산 어민연합회 회장, 이상윤 풀무원 혁신사업추진실 상임자문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풀무원을 포함한 참여 기관들은 육상 김 양식 기술 개발 및 확산, 연구 기반 조성, 지역 어업인 지원 등을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풀무원은 앞서 지난해 10월 새만금개발청,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한국농어촌공사와 5자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전북 군산시 새만금 수산식품 수출가공 종합단지에 2800여 평 규모의 '육상 김 R&D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풀무원은 현재 및 미래의 김 수요를 반영하여 오는 2028년부터 2035년까지 새만금 수산식품 수출가공 종합단지 인근에 추가 부지를 조성할 계획이며, 지역 어업인들에게 육상 김 양식 기술을 확산하고 상용화를 지원하는 리빙랩 구축과 사업 부지로 활용할 예정이다.
리빙랩은 실제 환경에서 연구자, 기업, 정부, 시민이 협력하여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개방형 혁신 모델이다. 추가로 조성되는 육상 김 부지에서는 실제 사용자(지역 어업인) 중심의 상용화가 진행된다. 리빙랩을 통해 개발 단계에서 지역 어업인이 직접 육상 김 생산에 참여함으로써 생산자 눈높이에서 의견을 제시할 수 있고, 기업은 맞춤형 양식 시스템 개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풀무원은 이번 협력으로 육상 김 양식 기술을 매뉴얼화해 지역어업인들에게 기술을 공유하고 교육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지역 어업인이 생산한 원물을 매입하고 원물 가공 공장에 지역 인재를 채용하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이상윤 풀무원 혁신사업추진실 상임자문은 "육상 김 양식은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면서도 안정적인 김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인 대안"이라며 "풀무원은 새만금 지역을 거점으로 국내외 시장을 겨냥한 육상 김 산업화를 선도하고,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 산업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다윗 기자([email protected])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