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연이 만든 ''반도체 기반 대용량 스위치'…해외로 뻗어가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개발한 ‘펄스파워 제어용 반도체 기반 대용량 스위치’ 기술이 글로벌 최정상급 연구기관들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전 세계 대용량 스위치의 시장 규모는 9조4000억원에 이른다.‘펄스파워(Pulse Power)⋯
-
값싼 비용으로 수초내에 챗GPT 개인정보 침해할 수 있어
인공지능(AI)의 개인정보 악용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이미 많은 나라들이 중국의 딥시크를 차단하거나 이용을 제한하는 조치를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챗GPT도 개인정보 악용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챗GPT와 같⋯
-
‘무엇’이 되고 싶은, 아름다운 숫자를 찾아서 [지금은 과학]
수학이 못 하는 게 있을까.수학은 과학 발전의 기초를 닦았다. 인류 역사의 발전을 이끈 기초언어라고 해도 무리가 없다. ‘0~9’라는 10가지 단순한 ‘숫자 언어’는 물리, 화학, 우주과학, 양자, 인공지능의 기본이 되고 있다.⋯
-
정밀 관측할수록, 2032년 소행성 충돌 가능성↓ [지금은 우주]
최대 3% 이상까지 치솟았던 지구 소행성 충돌 가능성이 0%대로 떨어졌다. 추가로 정밀 관측할수록 충돌 확률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이 과정에서 지구로 접근하는 지름 수십m의 소행성을 관찰하기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
-
美 기후과학자들 '비명'⋯'트럼스크' 현실화 [지금은 기후위기]
이른바 ‘트럼스크(트럼프+머스크+리스크)’가 미국 전역에서 확산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미국 정부효율부 수장이 미국 내에서 과학 리스크(위험)의 상징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과학에 대한 지⋯
-
2030년대⋯원전‧재생 30%대로↑, 석탄 10%대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2024~2038년)이 확정됐다.원전은 비중이 확대된다. 2023년 30.7%에서 2030년 31.8%, 2038년 35.2%로 늘어난다. 석탄 발전은 급감한다. 2023년 31.4%, 2030년 17.2%, 2038년 10.1%로 줄어든다.재생에너지는 증가한다. 202⋯
-
석탄발전 폐지→지역경제‧고용 등 '질서있는 로드맵' 필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발전5사가 ‘석탄발전 전환 로드맵’ 수립의 기본방향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세부방안 마련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21일 석탄회관 대회의실에서 산업부 최남⋯
-
"양자과학기술, 어떻게 되고 있는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1일 대전에 있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원장 이호성)을 찾았다. 표준연 대표 연구시설을 둘러봤다.표준연 원장과 양자 관련 주요 보직자 등이 참석한 ‘국가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현장⋯
-
주소연 KAIST 박사, 박사졸업 동시에 국제학술지 부편집장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은 신소재공학과 주소연 박사(지도교수 홍승범)가 한국인 최초로 세계적으로 귄위있는 재료 과학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의 출판 개발팀(Publishing Development Team) 부편집⋯
-
"'미국 과학, 무너지고 있다"…'트럼스크'로 탈미국↑ [지금은 과학]
이른바 ‘트럼스크(트럼프+머스크+리스크)’가 미국 과학계를 강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다 ‘미국 과학이 무너지는(American Science Has Fallen)' 것 아니냐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도널드 트럼프는 두 번째로 미국 대통⋯
-
과기정통부 집중하는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과제 후보 나왔다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77개 제안서 중 국가전략형 11개, 미래 도전형 10개 등 총 21개 제안서가 선정됐다.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집중하고 있는 사업 중 하나이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와⋯
-
'한파' 물러나고 '건조' 온다…화재‧산불 조심
한파는 물러나는데 건조주의보가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기상청은 20일 “기온은 이번 주말이 지나면서 점점 올라 다음 주 초 평년기온을 회복할 것”이라며 “이후에는 온화한 날씨가 예상된다”고 발표했다.비와 눈이 오는⋯
-
2024년 국내 지진 총 87회…규모 4.8 부안지진 발생
지난해 국내 지진은 총 87회 발생했다. 평년보다는 많았는데 2023년과 비교했을 때는 조금 줄었다. 규모 4.8의 부안지진이 발생했는데 전북 역대 1위로 기록됐다.기상청(청장 장동언)은 지난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특성을 수⋯
-
매체순환연소 기술→이산화탄소 원천 분리 포집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류호정 박사 연구팀이 이산화탄소를 원천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가스 발전 기술을 실증하고, 전력 생산에 필요한 증기 생산까지 성공했다.상용화된 가스 발전 과정에서 연료가 연소되면 수증기와 함께⋯
-
난임 치료 '사물탕'…AI 활용 최적 성분 탐색 [지금은 과학]
한의학에서 난임 치료에 사용하는 사물탕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나왔다. 사물탕을 구성하는 38개 성분을 각각 분석해 전사체 데이터를 구축했다.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AI) 모델을 적용했다.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진용) 한의⋯
-
'달에 더 가깝게' 다누리, 임무 연장‧달 정밀 촬영 [지금은 우주]
우리나라 달 탐사궤도선 다누리가 고도를 낮췄다. 임무를 연장하기 위한 조처 중 하나이다. 고도가 낮아지면서 달 표면은 더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 달 14일 일어날 개기월식에도 대비한다.한국항공우주⋯
-
코로나19→마스크 착용‧사회적 거리두기→중이염 발생률 크게 줄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마스크 착용이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가 시행되면서 당시 병원을 찾은 감기 환자들이 줄었다는 통계는 나온 바 있다.코로나19가 유행한 시점에⋯
-
젊은 과학자 만난 최상목 권한대행 "맘껏 연구에 몰두하라"
“맘껏 연구에 몰두하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 고성능·저비용 AI모델 출시로 큰 파장을 가져온 (중국의) 딥시크의 개발을 젊은 연구자가 주도한 점은 큰 의미가 있다”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중국 청정에너지 성장, 심상찮네 [지금은 기후위기]
2024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에서 청정에너지가 10%를 차지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관련 연구를 보면 전기차와 배터리가 중국의 청정에너지 경제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지난해 청정에너지는 중국 GDP⋯
-
무기한 휴학‧실패도 응원…KAIST 신입생 지원 매년 급증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이 최근 3년 동안 학사 지원자가 61%(연평균 증가율 26.9%), 외국인 대학원 지원자가 64.5%(연평균 증가율 28.2%) 급증하며 지속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신입생을 맞이하기 위해 19일 대전 본원 대강⋯